첫 확진 이후 20일, 이번주 중대 고비
선제적이고 과감한 방역대응 이뤄져야
과도한 불안과 불신은 위기 극복 장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이번 주 중대 고비를 맞는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3일 “일주일에서 열흘 사이가 최대 고비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중국 내 감염 확산 속도와 국내 유입 및 방역 대응을 종합 판단한 발언이다. 그 사이 중국 내 확진자는 1만7,000명에서 3만7,000명 이상으로 늘었고, 사망자도 361명에서 800명을 넘어섰다. 우리나라는 확진자가 15명에서 27명으로 증가했지만 3명이 완치됐다. 9일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에서 정세균 총리의 언급대로 “확진자들이 모두 정부 방역망 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점”은 다행이다. 그러나 방심은 금물이고, 문제는 지금부터일 수 있다.
정부의 방역 대응은 대체로 2015년 메르스 사태 때에 비해 원만히 작동되고 있는 듯하다. 메르스 사태 이후 수정한 방역 대응 매뉴얼과 당시의 학습 효과의 영향이 커 보인다. 정 총리는 이날 위기경보 단계를 ‘경계’로 유지하면서 그 이유로 신종 코로나의 치명률(치사율)이 낮고, 우리 의료 수준으로 대응 가능하다는 점을 들었다. 하지만 국민 입장에서는 메르스보다 더 강한 전염력에 사스 사망자를 넘어선 중국 상황, 메르스 사태 당시의 악몽 때문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과도한 불안과 공포, 불신은 감염병 사태 극복의 장애 요인임에는 틀림 없다. 그러나 성숙한 시민의식은 정부 대응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발현된다는 점 또한 명백하다.
때문에 정부가 종전보다 더 선제적이고 과단성 있는 방역 대응 태세를 가동하는 것이 긴요하다. 정 총리는 중국 외 지역사회 감염 발생 국가 입국자 검역을 강화하고 “(후베이성 이외) 다른 중국내 위험 지역 입국 제한 조치를 추가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싱가포르, 태국, 중국 광둥성 여행자나 그들과 접촉한 국민들이 확진 판정을 받은 만큼 신속하고도 세밀한 추적 관찰과 분석을 통해 국민 안전이 위협받는 ‘사후약방문’식 대응의 우를 범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무증상 감염자, 중국 이외 국가에서 들어온 입국자 등에 의한 지역사회 감염이 현실화하면 신종 코로나 대응 전선은 뚫리게 된다. 누구에게 감염됐는지 모르는 무연결 확진자까지 나올 가능성도 염두에 두는 고강도의 선제적 대비책 마련이 절실한 이유다. 정 총리가 지자체에 지역 가용 의료자원 파악과 함께 “행정 인력, 물적 자원 총동원 태세”를 주문한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국민들이 국내 의료 체계ᆞ수준을 신뢰하면서 평정심을 잃지 않고 차분하게 대응할 수 있게 더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공개가 이뤄져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