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북한, 감염병 정보 공개 않는 대표적 국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한 대북지원 사업 등은 신속하게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앞서 세계보건기구(WHO) 등 세 곳의 대북지원 사업을 승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멈췄던 남북 및 북미 접촉이 예상보다 빠르게 활성화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8일 “신종 코로나 예방 또는 치료와 관련된 면제에 대한 모든 요청을 가능한 신속하게 고려할 준비가 돼 있다”는 내용의 이메일 답변을 지난 6일 받았다고 보도했다. 한국 정부나 다른 지원 단체가 실제 연락을 취했는지에 대해선 답변하지 않았다. 다만 제재위는 7일 홈페이지를 통해 WHO, 유진벨 재단, 세계식량계획(WFP) 등 세 곳의 대북지원 사업을 승인한다고 밝혔다. 직접적인 신종 코로나 예방을 목적으로 두진 않았으나 원격의료를 위한 청진기와 현미경 등 의료 관련 지원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 관련 북한의 장벽은 높기만 하다.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국경을 폐쇄한 북한은 방역 정보 등을 외부에 전혀 공개하지 않고 있다. 로베르타 코헨 전 미국 국무부 인권담당 부차관보는 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정부가 국제 기구들에게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북한 정권이 인도주의 단체들에게 특정한 프로젝트에 관해서만 제한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제롬 소바쥬 전 유엔개발계획(UNDP) 평양사무소장도 재임 당시 북한에 예방 접종과 모자ㆍ소아 보건 등 의료 관련 자료와 수치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것이 북한 정부가 신종 코로나 감염 관련 수치를 공유하지 못하는 배경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미 존스홉킨스대학교 인도주의 보건센터 소속 코틀랜드 로빈슨 교수는 “북한 내 주민들에게도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신종 코로나 전파 기간이 늘어나고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없어 위험성이 커진다”고 우려했다.
진달래 기자 aza@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