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전문가 “후베이성 이미 봉쇄… 입국제한 효과 적어” 지적
방역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국내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중국 전역을 위험지역으로 지정, 입국을 제한해야 더 큰 차단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입국자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지역사회 유행에 대비해 인력과 시설이 갖춰져 있는 민간 의료기관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3일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입국제한을 신종 코로나가 발생한 후베이성에 국한하지 말고 중국 전역으로 확대하라고 촉구했다. 최 회장은 이날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후베이성은 이미 중국당국이 봉쇄한 상태라 정부의 입국제한 조치는 사실상 실효성이 없다”며 “사태를 조기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한시적으로 중국전역에 대한 입국제한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을 막지 않으면 아무리 국내에서 의료진과 국민들이 신종 코로나를 예방하고 치료해도 지역사회 유행을 저지할 수 없다”며 “정부가 하루빨리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 전역의 입국제한 조치는 한국을 ‘피난처’ 중 하나로 고려할 수 있는 중국인들에게도 강한 경고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중국에서 들어오는 입국자 수를 줄여야 한다”며 “중국인들이 ‘이제 한국에 가기 힘들다’라고 인식하게 되면 단순 여행객들 수가 감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입국제한 범위 확대도 중요하지만 보다 철저한 입국자 관리가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제 3국을 거쳐 국내로 입국할 경우 방역에 더 큰 구멍이 되는 만큼 국제적 공조가 절실하다는 것이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선제적 조치에는 동의하지만, 중국에서 미국이나 유럽, 아시아 국가를 경유해 국내에 들어오는 이른바 ‘경유지 세탁’을 하면 입국제한 조치가 의미가 없게 된다”며 “효율적인 감시를 위해서는 국제 공조를 통해 적극적으로 감염자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3차 감염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지역사회로의 전파를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엄중식 교수는 “지역사회 전파가 시작될 경우 인력과 시설의 한계가 있는 보건소만으로는 감염 속도를 감당할 수 없다”며 “지역 대학병원 의사들이 판단해 의심환자와 폐렴환자들을 신속히 검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신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영호 서울대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도 “지역사회에서 3, 4차 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정부가 이에 대한 치밀한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치중 기자 cj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