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국내 확진환자가 지난 주말 사이 11명에서 15명으로 급증하면서 국내 지역사회 유행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 우한시에서 입국한 사람이 내국인을 감염시키고, 내국인끼리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2, 3차 감염이 실제로 발생하면서 이미 지역사회에 국지적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됐다고 지적하는 전문가도 나왔다. 확진환자 대다수가 우한시에서 온 사람인 이유는 현재 격리기준 등 방역망이 중국과 후베이성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다른 지역에서 입국해 국내에서 발병한 환자가 이미 지역사회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다. 이런 사태가 지속되면 방역 전략을 신규 확진환자 발생에 맞추고 방역자원을 집중하는 봉쇄전략에서 사망자 발생 등 피해를 줄이는 피해 최소화 전략으로 조심스럽게 이동해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3일 의료계에 따르면 현재 격리기준으로는 중국 이외 지역에서 입국한 사람이 스스로 발병을 의심하더라도 검사를 받을 수 없다. 보건당국의 환자 분류체계는 3단계로 구성돼 있는데 가장 낮은 단계인 조사대상 유증상자도 ‘중국을 방문한 이후 14일 이내에 폐렴이 나타난 자’여서 초점이 중국으로 맞춰져 있다. 2일 정부가 중국 입국자가 아니더라도 선별진료소 의사 판단에 따라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지만 우한에서 집단 폐렴이 발생한 이후 한달 이상 지난 시점에서야 도입된 조치다.
이에 대해 최재욱 의협 과학검증위원장은 “예컨대 중국을 다녀왔다가 영국에서 국내로 입국한 사람이 있다면 공항 검역에서 중국 방문력을 확인해 조치해야 하는데 현재는 확진검사를 하지 않는다”라면서 “시간이 되면 전화하거나 발열이 나오거나 악화해서 진료소를 찾아가면 그때 가서야 들여다 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 사이 바이러스가 확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역사회 전파가 이미 제한적으로 시작됐다고 평가한다. 김 교수는 “3번 환자가 6번 환자를 감염시켰고, 6번 환자가 추가로 2명을 감염시키면서 내국인 간 전파가 확인됐으니 지역사회 전파가 이미 시작됐다고 생각한다”라면서 “앞으로 지역사회에서 바이러스가 유행하면 전략을 바꿔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중국에서 입국해 14일 이내 증상이 나타난 환자’라는 지역 기준이 의미가 없어진다는 설명이다.
지역사회 유행이 시작될 경우, 방역전략을 현재의 봉쇄전략에서 피해 최소화 전략으로 바꿀 수밖에 없다는 것이 김 교수의 주장이다.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 종합병원 등은 중증 환자 진료에 집중하는 것이 피해 최소화 전략이다. 경증 환자는 집에서 약을 복용하며 버티게 될 것이라고 김 교수는 내다봤다. 김 교수는 “의료체계가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 진료 등 기존의 의료서비스를 포기할 수 없기 때문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중장기적으로 지속되면 결국 의료체계에 과부하가 걸릴 수밖에 없다”라면서 “그러면 원내 감염이 발생할 것이고 그런 병원을 부분 폐쇄나 완전 폐쇄하면 사태가 더 악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정부가 민간 병원까지 포함하면 음압병실 등 격리병상이 충분하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환자 이동 동선이 다른 환자들로부터 차폐돼 있는 그런 공간이 부족할 것”이라면서 “국립중앙의료원 등은 동선까지 차폐돼 있지만 민간 병원은 다르고 질병관리본부가 현실을 모른다”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환자가 더 늘어나지 않을 것이란 판단은 안일한 것”이라면서 “중장기적 상황을 대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민호 기자 km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