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15 총선을 두 달여 앞두고 야권의 분화가 신생 정당 창당으로 가시화하고 있다. 바른미래당을 탈당한 안철수 전 의원이 2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당의 비전을 발표했다. 실용적 중도 정당으로 탈(脫)이념과 탈진영, 탈지역을 지향한다는 것이다. 규모와 운영 방식은 국고보조금을 절반으로 줄이는 작은 정당, 당원이 모바일 플랫폼으로 의사 결정에 참여하는 공유 정당, 국민이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이슈크라시(이슈+데모크라시) 정당, 블록체인을 적용해 당의 회계나 인사, 회의 자료를 공개하는 혁신 정당을 내세웠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대안신당도 큰 틀에서 통합에 공감대를 이뤘다고 한다. 분열된 상태로 총선에 나섰다간 승산이 희박하다는 걸 알기 때문이다. 보수 진영도 잰걸음이다. 혁신과통합추진위원회(통추위)는 이달 초 통합신당 창당준비위를 출범시키고, 중순엔 통합신당을 창당하겠다는 로드맵을 내놨다. 통추위에 한 발 걸치고는 있지만 관망하고 있는 새로운보수당의 유승민 의원도 별도로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통합을 포함한 연대 논의를 하고 있다.
국민은 이런 움직임이 선거를 앞둔 또 한 번의 이합집산이 아닌지 주시하고 있다. 그간 여러 신생 정당들이 명멸한 건 가치가 아닌 눈 앞의 이익을 두고 ‘무조건 통합’을 해서다. 단순히 ‘반문재인 세력’의 결집이나 제2의 호남정당이어선 수명이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그나마 안 전 의원이 창당에 앞서 신당이 견지할 가치와 방향을 공개한 게 눈길을 끈다. 실용적 중도와 디지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작은 정당은 프랑스의 앙마르슈, 스페인의 포데모스처럼 이미 유럽에서는 성과를 거둔 방식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잘만 구현한다면 젊은층의 정치 참여를 이끌어 내고 대의 민주주의의 허점을 메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도, 야도 틀렸고 나만이 정답’이라는 독선이 기반이라면, 이번 창당 역시 네 번째 실패로 이어질 뿐이다. 안 전 의원은 이날도 “현재의 정당들은 선거만을 위해 이미지 조작에 능한 이익집단”이라고 비판했지만, 아직도 국민은 그에게서 신뢰보다 불신, 책임보다 책임 회피를 떠올리고 있다는 걸 기억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