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혜란 대전세종연구위원 “200만이상 거점도시로 성장 경쟁력 갖춰야”
세종시 건설로 인한 인구 유출 등 대전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 도시를 묶는 대도시권 형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황혜란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30일 충남대에서 열린 대전ㆍ세종ㆍ충청 사회학포럼 제3회 심포지엄에서 ‘대도시권 관점에서 본 대전-세종 상생협력 방향과 과제’ 발표를 통해 “대전-세종간 협력문제는 국가균형발전 가치실현을 위한 대도시권 관점에서 협력의 방향성이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황 연구위원은 2012년 세종시 출범 후 인근 대전과 청주간 통근, 인구이동, 생활권 공유 등 변화를 유발하고 단기적으로 충청권 내부로부터의 인구유출로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대전시의 경우 인구 유출로 150만명선이 무너지고 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지역본부 등 공공기관이 잇따라 이전하고, 지역인재 채용에서 배제되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두 도시간 갈등조정을 위한 단위사업 위주의 분산적 논의를 넘어 중장기적으로 대도시권 형성을 통한 성장추진동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대도시권은 도시의 기능과 생활이 한 지자체 범위를 넘어 인근 지역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메갈로폴리스나 메가시티 등의 개념이다.
이를 바탕으로 대전시와 세종시가 집적화에 의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고 황 연구위원은 밝혔다. 그는 “중부권에 인구 200만도시의 부재가 핵심성장 거점의 부재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황 연구위원은 구체적인 협력 방향으로 세종시 인구유입 효과를 활용해 중부권 핵심성장 거점으로의 도약과 함께 대전지역에 특화한 첨단기술 업종과 세종의 창의ㆍ디지털 업종을 연계해 지식집약도시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 연계 원천기술 사업화 허브와 중이온 가속기 연계 바이오 융복합 클러스터 육성 등이 대표적이다.
대전시와 세종시 주민들의 수요에 기반한 생활권 기반도 규모를 키울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통근 쇼핑 여가 의료분야에서 세종시민들의 대전 의존도가 높아 시민생활 밀착부문을 중심으로 규모 경제를 추구해야 하며, 로컬푸드 수요 증가에 따른 광역푸드플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포럼은 사회학 포럼과 충남대 사회학과 주관으로 대전세종연구원, 사회학포럼, 지역사회학회, 충남대 사회과학연구소 등이 참여하여 ‘자치분권 시대의 지방도시:갈등을 넘어 유기적 연대’로 라는 주제로 열렸다.
허택회 기자 thhe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