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금융시장 등 경제에도 충격을 미치고 있다. 28일 급락했던 글로벌 증시가 하루 만에 반등하며 진정되긴 했지만 위험은 상존한 상태다. 신종 코로나 사태가 단기간에 마무리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감염병 전문가들조차 신종 코로나가 올 여름까지 진정되는 게 최선의 시나리오라고 말할 정도다. 2002년 11월 중국에서 첫 발병한 중증급성호홉기증후군(사스)은 2003년 7월에 가라앉았고, 2015년 5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병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은 그해 12월 공식 종식됐다. 사스 사태로 2003년 우리 국내총생산(GDP)이 0.25%P 하락했고, 메르스도 2015년 성장률을 0.2%P 떨어뜨린 것으로 추산된다. 신종 바이러스 창궐이 경제에 미치는 파장을 여실히 보여 주는 예이다.
일각에서는 중국 경제 규모가 2003년 사스 때보다 8배 이상 커진 점을 근거로 우리 경제에 미칠 충격이 훨씬 더 클 수 있다고 한다. 사스 충격은 중국 인근 아시아 국가에 그쳤지만 이번에는 미국 등 전 세계가 영향권에 든 것을 감안할 때 이같은 우려는 결코 과장된 것이 아니다.
특히 오랜만에 우리 경제에 회복 신호가 보이는 시점에 대형 충격이 발생한 점이 뼈아프다. 한국은행 발표 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1년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우리나라 경기선행지수(CLI)를 보면 3월부터 경기 반등이 기대됐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 창궐로 중국의 올해 성장률이 6%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었다.
전례를 보면 전염병의 경제적 충격은 단기간 내 회복되는 등 제한적이었다. 이런 점에서 금융시장 등 경제 분야에 대한 불안 심리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고 이제 막 나타난 회복세가 유지되도록 적극적인 대책을 펴는 게 중요하다. 정부는 208억원의 방역 대응 예산을 신속히 집행하고 추가 소요 발생 시 목적예비비 2조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단기 대책과 병행해 교역 시장 다변화 등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중장기 체질 개선 노력을 서둘러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