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가 금리 하락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발간한 BOK경제연구에 실린 ‘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1995~2018년까지 23년간 인구 고령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실질금리는 3%포인트 떨어졌다. 실질금리는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이자로, 경제 주체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금리 수준을 뜻한다.
보고서는 “인구 고령화로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늘어나 저축이 늘고, 소비는 감소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저축이 늘면 금리는 낮아진다. 돈을 빌리려는 사람이 많으면 금리가 높아지고, 반대의 경우는 금리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또 저출산 탓에 인구가 줄면 잠재성장률이 낮아져 금리는 또 떨어진다. 잠재성장률과 금리는 같은 추세로 움직이는데, 개발도상국이 선진국보다 금리가 높은 것은 이 때문이다. 따라서 저축 증가와 저출산이라는 두 가지 현상을 동반한 인구 고령화가 금리를 하락시켰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995년 9.6%에서 2015년 19.4%로 증가했고, 실질금리는 1995년 9%에서 2018년 0.4% 안팎으로 하락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실질금리 하락폭의 3분의 1이 고령화 여파인 셈이다.
보고서는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실질금리 하락분이 2%포인트라면, 인구 증가율 감소에 따른 낙폭은 1%포인트”라며 “인구 고령화가 지속되면 실질금리는 지금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김경준 기자 ultrakj75@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