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산업간 노동이동 경직성’ 보고서
서비스업→금융ㆍIT업계 문턱 높아져
“특정직무 능력개발 정부 지원 필요”
세계 금융위기 이후 임금이나 생산성이 낮은 서비스업에서 금융ㆍ정보기술(IT) 등 소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이직 문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재직 중인 업종에서 처우가 더 좋은 산업으로 이동하려는 이른바 ‘일자리 사다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이런 현상은 국내총생산(GDP) 감소의 원인 중 하나인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0일 한국은행 박창현 조사국 과장 등이 조사통계월보(12월호)에 발표한 ‘산업간 노동이동 경직성의 거시경제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금융위기 이후(2011~2018년) 고생산성ㆍ저생산성 산업 간 노동의 ‘대체탄력성’은 이전 시기(2002~2010년)의 약 40% 수준으로 떨어졌다. 대체탄력성이 낮다는 건 산업 간 노동이동이 어려워졌다는 의미로, 일반 서비스업에서 임금이나 생산성이 높은 제조업과 금융ㆍIT서비스업 등으로 이직이 그만큼 힘들어졌다는 뜻이다.
연구진은 “생산성이 높은 산업에서 기계화, 자동화 등 노동절감형 기술발전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한편, 구직자로선 전반적인 기술습득 비용이 상승한 탓”이라고 원인을 분석했다. 구직자 개개인의 직업적 능력이 고생산성 산업의 기술발전 속도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임금격차 확대뿐 아니라 경제 전반의 생산성 하락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실제로 8년간(2011~2018년) 전 산업 평균임금은 22.1% 상승했고 GDP 증가율은 34.9%를 기록했다. 연구진은 산업간 이직이 활발해져 인적 자본이 효율적 배치됐다면 평균임금 수준은 2.7%포인트 오른 24.9%까지 확대되고 GDP 역시 3.7%포인트 오른 38.6%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박창현 과장은 “보편적인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정책지원보다는 산업별 핵심직무, 정보화 등 기술진보에 맞춘 특정직무 중심의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업종과 구직자 사이 ‘기술 미스매치’(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조아름 기자 archo1206@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