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의 이후 일정 비워… 26일 오후까지 촉각
문재인 대통령의 크리스마스는 ‘정중동(靜中動)’이었다. ‘크리스마스 선물’이란 이름으로 예고한 북한 무력시위 가능성은 다소 낮아진 듯 했으나, 북한의 의중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라 긴장을 늦출 수 없었던 것이다.
중국에서 열린 한중ㆍ한일 정상회담, 한중일 3국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24일 밤 귀국한 문 대통령은 25일 공개 일정을 잡지 않고 ‘조용한’ 하루를 보냈다. 그러나 북한의 크리스마스 무력 행보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관련 동향을 수시로 보고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25일 “북한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 방중을 계기로 북한의 연내 추가 도발 가능성이 낮아진 것 아니냐는 기대감도 청와대 일각에서 감지됐다. 중국이 “한반도 긴장 상황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다”(시진핑 국가주석)며 무력 시위를 자제하란 메시지를 냈으니, 북한도 섣불리 행동하진 못할 것이란 판단에서다. 그러나 ‘크리스마스 선물’은 미국을 겨냥한 것인 만큼, 청와대는 미국의 크리스마스가 끝나는 한국시간 26일 오후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을 방침이다.
북한의 선택이 어느 쪽이든, 문 대통령의 연말은 분주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23일 시 주석과 나눈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심도 깊은 대화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공유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한미 정상은 지난 7일 전화 통화에서 “당분간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 통화하자”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중ㆍ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한 대북제재 완화 추진 결의안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한미 공조 틀이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는 만큼, 한국의 정확한 입장을 미국에 설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고위급 외교 당국자의 방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울러 시 주석 및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확인한 ‘한중, 한일 관계 정상화’ 의지를 현실화하는 것도 문 대통령의 중요한 과제다. 문 대통령이 연말 공식 일정을 최소화하려는 것 역시 이러한 상황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전략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신은별 기자 ebshi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