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째 한중 정상회담… 경색된 한중관계 정상화 공감대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23일 6번째 한중 정상회담에서 북한 비핵화 등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를 둘러싼 한중 갈등 해소 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특히 ‘연말’ 시한을 내세우며 도발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는 북한을 다시 북미 비핵화 대화 테이블로 끌어 앉히기 위한 두 정상의 복안도 관심을 모았다.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중국을 방문한 문 대통령은 청두(成都)로 가기 전 베이징(北京)에 들러 시 주석과 정상회담 및 업무 오찬을 가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약 두 시간 동안 한반도 평화에 대해 허심탄회한 이야기들이 오갔다”며 “북미가 대화의 동력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전했다.
이는 ‘크리스마스 선물’을 예고하며 무력 시위 강도를 높이고 있는 북한을 향해 시 주석이 태도 변화를 촉구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시 주석은 정상회담이 비공개로 전환된 뒤 “한반도의 긴장 상황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대화의 판’이 깨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 역시 모두 발언에서 “북미 대화가 중단되고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최근 상황은 우리 양국은 물론이고 북한에게도 결코 이롭지 않다”며 “모처럼 얻은 기회가 결실로 이어지도록 더욱 긴밀히 협력해 가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은 최근 중ㆍ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한 대북 제재 완화 관련 결의안에 대해서도 심도 깊게 논의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북미 협상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이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제재 완화 문제를 일정 정도 해소해야 한다’는 우리 정부 입장을 문 대통령이 중국에 직접 표명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대목이다. 시 주석은 “한ㆍ중 양국이 손을 잡으면 많은 일을 해낼 수 있다”며 “특히 한반도 문제에 있어 양국의 입장은 문 대통령 집권 이후 더 강화됐고 통하는 부분이 더 많아졌다”고 말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전했다.
문 대통령은 청두에서 열린 리커창(李克强) 국무원 총리와의 양자회담에서는 청두에서 유럽까지 1만여 km에 이르는 고속철도를 언급하며 “끊어진 남과 북의 철도와 도로가 완전히 이어지고, 한반도에서 중국, 유럽까지 그물망처럼 연결되는 유라시아 물류 혈맥의 완성은 다자평화안보체제로 발전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중국이 ‘동아시아철도공동체’ 비전을 함께 실현하는 동반자가 돼 주길 당부했다. 남북 철도 연결은 중ㆍ러의 대북 제재 완화 결의안에 포함된 내용이다. 리 총리는 이에 “중국도 함께 구상할 용의가 있다”며 “중국은 북미 간 문제를 대화로 해결해야 된다는 것에 적극 지지하며 앞으로도 함께하겠다”고 즉각 화답했다.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는 2016년 사드 배치 후 중국 정부의 한한령(限韓令ㆍ한류 금지령)으로 경색된 한중 관계를 정상화하자는 것에도 공감대를 확인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한한령에 대한 직접적 언급은 없었다”면서도 “다만 앞으로 문화, 체육, 교육, 언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 협력을 강화하자는 얘기가 있었다”고 전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2022년 연달아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언급하며 “양국 간 스포츠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길 희망한다”고 말했고, 시 주석은 “우리는 평창의 깃발을 이어받았다”며 올림픽을 고리로 양국이 교류할 수 있는 영역을 넓혀가자고 화답했다.
양 정상은 또 “환경 문제는 양국 국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에 직결되는 문제”라며 미세먼지를 비롯한 환경 협력에도 합의했고,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자유무역 체제의 중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미중 무역 갈등 사이에서 한국이 ‘우군’이 돼 달라는 요청으로 풀이된다. 시 주석은 모두발언에서 “중한 양국은 아시아에서 나아가 세계에서 무게감과 영향력이 있는 나라”라며 “지역의 평화, 안전, 번영을 촉진하고 다자주의와 자유무역 체제를 수호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넓은 공감대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세계 100년 동안 없었던 큰 변곡에 대해 우리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시키고 발전시켜서 양국의 공동된 이익을 수호하고 넓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베이징=이동현 기자 nan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