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자출연기관 현주소] <중> 성과금 포함하면 평균 연봉 1억원 넘어, 물의 빚고도 자리보전
“경북도 산하 30개 출자출연기관 중 의료기관 3개를 뺀 기관장 모두가 경북도 출신 퇴직 공직자로 채워졌다. 처장, 본부장 등 고위직 대부분도 마찬가지다.”
박차양(경주) 경북도의원은 최근 경북도 감사관실 행정사무감사에서 “도청 간부 출신들이 임원으로 앉아 있으니 경북도 감사도 대충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연봉은 수십 년 공직 생활한 공무원보다 많고, 감사원 감사 대상도 아니다 보니 문제점이 제대로 고쳐지지 않는다”고 대책을 추궁했다.
경북도 출자출연기관장의 연봉은 경북테크노파크가 1억2,000만원으로 가장 많고 경북신용보증재단, 경북도개발공사 및 관광공사가 1억원을 넘어선다. 가장 적은 경북장학회, 독도재단, 종합자원봉사센터가 5,800만원이다. 이들의 평균 연봉은 8,200만원이 넘고 상여금과 성과금을 포함하면 1억원을 훌쩍 넘어선다는 평가다.
그야말로 간부공무원으로 퇴직하고도 수년간 최고의 연봉이 보장되는 자리를 꿰차고 있다. 이들이 전문성이 요구되는 출자출연기관장 자리에 앉아서 연봉만큼 성과를 내는지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가 많다.
김성진(안동) 도의원은 “출자출연기관의 장이나 간부급 임원은 상근직임에도 불구하고 기관 본연의 업무는 뒤로한 채 관용차량을 타고 직원을 대동해 직무와 상관없는 각종 행사장에 눈도장이나 찍으러 다니고 있다”고 질책했다.
그는 “근무 외 시간은 물론 근무시간까지 행사장을 찾는 등 정치적 행보로 지역민의 입방아에 오르내리다 지역 정치권과 갈등을 빚는 경우도 있다”고 비판했다.
최근 실시된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는 방만ㆍ부실 경영에 대한 도 본청의 허술한 지도ㆍ감독에 질타가 이어졌다.
대구경북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이종렬(영양) 도의원은 “연구원 54명 중 25명이 고액연봉자임에도 연구실적이 부족하다”며 “국책사업과 지역 중장기 계획 수립에 제 역할을 하라”고 질타했다.
황병직(영주) 도의원은 “대경연이 공금 유용 의혹을 제기한 수습직원을 전에 없던 내부지침까지 만들어 정규직 임용에서 탈락시키고, 특정 연구위원 승진을 원장이 단독 결정하는 등 비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시정조치를 요구했다.
경북도문화재연구원은 업무추진비를 축의ㆍ부의금 등 사적 용도로 마구 쓰다 도 감사에 적발됐다. 임직원 A씨는 2016년부터 4년 동안 2,600만원 중 80%, B씨는 980만원 전액을 축ㆍ부의금으로 썼다. A, B씨가 동일인에게 쓴 경우도 모두 92건에 달했다.
경북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은 지난해 1월 이사장으로 임명 받기 며칠 전 다른 법인대표이사로 취임한 사실이 드러나 겸직금지 규정을 위반으로 경고처분을 받았다. 임직원 급여를 3년간 평균 34.37% 인상해 6급 이상 임직원 48명 중 10명이 1억원 이상 급여를 챙기는 등 방만경영을 일삼았다.
여기다 경북체육회는 2020년 도민체전 개최지 선정 번복 사태로 도정과 지역 체육계를 혼란에 빠뜨리고도 책임자는 뒤로 빠졌다. 박판수(김천) 도의원은 “체육회 공신력을 심각하게 훼손한 만큼 공식 사과문을 내라”고 질책했다.
도체육회는 또 30명 정원 중 2급 1명, 4급 7명, 5급 4명 등 고위직급에 고임금까지 정하면서 이사회 의결이나 도지사 허가 과정 없이 내부결재로 처리한 사실을 두고 질책을 받기도 했다. 박채아(비례) 도의원은 “고액연봉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으니 연말까지 조치하라”고 성토했다.
남진복(울릉) 도의원은 “출자출연기관 임직원의 급격한 임금인상을 제도적으로 억제할 조례제정이 다른 시ㆍ도에서는 추진되는데 경북도는 담당실장이 동향파악도 못하고 있다”며 조례제정을 촉구했다.
이용호 기자 lyh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