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금융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리스크(위험) 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를 가장 많이 꼽았다. 6개월 전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글로벌 경기 둔화와 중국 금융ㆍ경제 불안이 응답률 상위 5대 리스크 요인에 새로 포함됐다. 금융시스템 리스크란 금융 기능이 시스템 장애로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아 실물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는 상황을 뜻한다.
한국은행은 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9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공개했다.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과 대학교수ㆍ연구원을 반년 주기로 설문조사해 국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이번 조사는 지난달 13~29일 국내외 79개 기관 소속 92명이 참여한 가운데 이뤄졌다.
응답자별로 중요도 순위를 매겨 꼽은 위험 요인 5개를 집계한 주요 리스크 요인 조사에선 미중 무역분쟁(응답률 74%), 국내 경기 둔화 지속(52%), 글로벌 경기 둔화(40%), 가계부채(40%), 중국 금융ㆍ경제 불안(39%) 순으로 가장 많이 꼽혔다.
미중 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는 응답자별 1순위 리스크 요인만 따로 집계한 결과에서도 각각 응답률 39%와 21%로 1,2위를 기록했다. 전문가 60%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을 위협하는 요소로 이들 둘 중 하나를 첫손에 꼽은 것이다. 그 다음으로 응답률이 높았던 건 글로벌 경기 둔화(9%), 기업 실적 둔화(5%) 등이었다.
상반기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미중 분쟁, 국내 경기 둔화, 가계부채는 상위 5개 리스크 요인에 그대로 포함됐고 글로벌 경기 둔화와 중국 불안이 새로 포함됐다. 자리를 지킨 3개 요인 중 미중 무역분쟁의 응답률은 7%포인트 상승(67→74%)했고, 국내 경기 둔화(66→52%)와 가계부채(43→40%)의 응답률은 떨어졌다. 기업실적 부진(37%)과 부동산시장 불확실성(37%)은 상반기 상위 5개에 포함됐다가 이번에 빠졌지만 여전히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상위 5개 리스크 요인별로 ‘발생 가능성’과 발생 시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을 묻는 질문에서 미중 분쟁과 국내 경기 둔화는 ‘발생 가능성이 높고 영향력이 크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른 셋은 발생 가능성과 영향력 모두에서 ‘중간’으로 진단됐다. 가계부채와 중국 불안은 향후 1~3년 안에 현실화할 수 있는 ‘중기’ 요인으로, 나머지는 1년 내에 일어날 수 있는 ‘단기’ 요인으로 각각 분류됐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단기에 실제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상반기 조사와 비교해 ‘가능성이 높다’는 답변이 4%에서 13%로 늘기는 했지만, 여전히 절반 이상(53%)은 ‘낮다’, 34%는 보통이라고 평가했다. 중기에 시스템 리스크가 현실화할 가능성엔 ‘높다’(34→26%)는 응답률이 줄고 ‘낮다’(24→28%)가 소폭 상승했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는 응답률도 상반기 50%에서 55%로 나아졌다.
이훈성 기자 hs0213@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