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상 380㎞ 비행, 발사간격 30초… 한미 정부 동시 압박
북한이 28일 동해상으로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쐈다. 북한 발사는 올해 들어 13번째로, 지난달 31일 이후 28일 만이다. 또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시로 이달 23일 해안포를 발사해 9ㆍ19 남북 군사합의를 고의로 위반한 지 5일 만이다.
전동진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은 28일 “우리 군은 오늘 오후 4시 59분쯤 북한이 함경남도 연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는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사체는 최대 비행거리 약 380㎞, 고도 약 97㎞로 탐지됐다. 북한이 이번에 쏜 초대형 방사포는 지난달 31일 평안남도 일대에서 발사한 것과 같은 것으로 군 당국은 보고 있다.
이번에 발사한 연포 일대에는 북한이 특수전 용도로 보유하고 있는 AN-2 복엽 침투기 비행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연포 일대에서 초대형 방사포를 쏜 건 처음이라 이동식발사차량(TEL)을 이용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과시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이번 발사는 초대형 방사포의 연속 사격 능력 검증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이번 방사포) 발사간격은 약 30여초 정도로 보고 있다”고 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초대형 방사포는 8월 24일과 9월 10일 발사했지만 연발 사격이 검증되지 않아 지난달 31일 다시 발사한 것”이라며 “당시도 2발 발사 시 간격이 3분으로 방사포의 연속 발사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말했다. 한미 정보당국은 추가 제원을 파악하기 위해 정밀 분석 중이다.
군 당국은 북한의 발사가 최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창린도에서 해안포를 쏴 9ㆍ19 군사합의를 위반한 데 이어 연속으로 ‘저강도 도발’을 이어간 것으로 보고 엄중 경고했다. 전 부장은 “이번 북한의 행위는 한반도 긴장완화 노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이에 우리 군은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군사적 긴장 고조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추가로 발사할 가능성에 대비해 북측 동향을 감시하며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마침 청와대는 이날 오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의 조건부 연기 이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었다. 회의 종료 직후 별도 회의를 갖고 있던 정 실장과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발사 소식을 듣고 국가지도통신망을 통해 박한기 합참의장과 대응책을 논의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이날 총리 관저에서 관방장관, 외무장관, 방위장관이 참가하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4각료’ 회의를 10분간 개최하고 북한의 발사체 발사 사안을 협의한 뒤 “국제사회에 심각한 도전“이라고 비판했다. 일본 정부는 북한의 발사체 발사와 관련해 주중 대사관 경로를 통해 북한에 항의했다고 교도통신은 보도했다.
북한의 도발 배경과 관련해선 한미 정부를 압박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금강산 관광을 독자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북측 의사를 강조하는 한편, 올 연말로 내세운 북미 실무협상 시한을 앞두고 미국이 이렇다 할 제안을 하지 않자 ‘새로운 길’을 갈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졌다는 것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동계 훈련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을 올려 시위하는 의미뿐 아니라 미국과 우리 정부 등을 저강도로 압박하는 메시지 용도로 쏜 것 같다”며 “내년 1월까지 쏴도 동계 훈련용이라는 핑계가 있는 만큼 시험발사는 계속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대화의 판을 깨지는 않을 정도로 무력시위를 이어가면서도 중거리 이상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자제해, 적정 수준의 압박을 지속적으로 가할 것이란 해석이다. 당분간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및 미사일 발사는 이어질 것이란 예측이 나오는 이유다.
안아람 기자 oneshot@hankookilbo.com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