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적 용도ㆍ민간 용도 분석 엇갈려… 정부, 동향 주목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면서부터 민간 항구로 활용하던 장전항(고성항)을 북한이 재활용하려는 정황이 포착돼 정부가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강산 관광을 위한 북측 출입 통로로 사용됐던 장전항에 북한이 손을 댄 목적이 동해에서의 군사적 활동을 위한 것인지, 독자적으로 금강산 관광을 추진하기 위한 것인지에 따라 정부 대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27일 군 및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최근 북한은 장전항 북쪽 항구에 부두 시설물과 건물 등을 일부 신축하고, 기존 시설물을 개ㆍ보수했다고 한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장전항이 민ㆍ군 복합항으로서 기능은 계속해왔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관련 기관 간 긴밀한 협조ㆍ협의 하에 관련 동향을 계속 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전항은 북한의 동해 최남단 해군기지로 군함과 잠수정이 배치됐었지만, 1990년대 말 금강산 관광 시작 후 항구 남쪽 지역을 민간 선박이 이용하도록 해 유람선들이 오가도록 개방했다. 항구 북쪽에는 군함이 드나들도록 했지만, 금강산 관광이 활성화되면서 군함들의 왕래도 급격히 줄어들었다. 그러던 중 금강산 관광이 중단된 후 공기부양정 등이 남쪽에 정박해 있는 모습이 위성에 포착되는 등 출몰 횟수가 조금씩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이 장전항의 재활성화 여부를 주목하고 있는 건, 장전항 용도에 따라 대응을 달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북한이 개발 중인 잠수함 기지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지만, 현재까지는 그런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장전항에 경비정이나 어업지도선 등 동해에서 조업 중인 북한 어선이 늘어나면서 이를 단속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고 평가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적 목적은 아니라는 얘기다.
최근 북한이 독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천명한 금강산 관광을 위해 시설을 개선하기 위한 것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 북한 매체들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금강산을 현지지도하면서 “고성항 해안관광지구에 항구려객역(여객선 터미널)을 건설하고 항 주변을 봉쇄할 데 대한 문제” 등을 거론했기 때문이다. 군사적 기능과 민간 기능을 분리해 금강산 관광에 활용하기 위해 재개발을 위한 것일 수 있다는 의미다.
안아람 기자 oneshot@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