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비료 무사용엔 ‘유기농’ 표시, 권장량 3분의 1 사용 땐 ‘무농약’
친환경ㆍ동물복지 등 농식품 국가인증 14종 운영
“인증제 안다” 소비자는 아직 70% 수준
“유기농하고 무농약하고 뭐가 달라?”
서울 은평구에 거주하는 김모(57)씨는 최근 대형마트에서 함께 장을 보던 딸(26)의 질문에 말문이 막혔다. 같은 브랜드에서 나온 콩나물 포장제품 2종에 각각 ‘유기농’과 ‘무농약’ 인증표지가 붙어있었는데, 둘의 차이를 제대로 설명할 수 없어서다. 친환경 제품을 오랜 기간 즐겨 구매해왔지만 단순히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라고 생각했을 뿐 각각의 인증이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 몰랐던 것이다.
알고 보니 ‘유기농’ ‘무농약’ 인증마크의 차이는 화학비료 사용 여부에 있었다. ‘유기농’ 표시는 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은 농산물에 부여되는 반면, ‘무농약’ 표시는 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되 화학비료를 권장량의 3분의 1만 사용해 생산한 농산물에 부착된다. 김씨는 “의미를 제대로 알았더라면 무농약보단 유기농을 일부러 찾아서 먹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정부가 다양한 농식품 관련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지만, 막상 소비자들은 이를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친환경을 향한 관심은 높아졌지만, 정작 이를 보장하는 제도 활용으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1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관원)이 현재 운영하는 농식품 관련 인증제도는 14종에 달한다. △유기식품 △무농약 농산물 △무항생제 축산물과 같은 친환경 인증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에서 생산됐음을 인증하는 지리적표시제도, 농약ㆍ중금속ㆍ미생물 등 위해 요소를 생산부터 유통 단계까지 안전하게 관리하는 우수관리인증(GAP) 제도도 있다.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도, 동물의 정상적인 생활을 보장해주는 농장에서 사육됐다는 것을 뜻하는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도 마련됐다.
이 같은 인증제도를 인식하는 소비자는 시간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으나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다. 농관원이 지난해 3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가인증 인지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인증제도에 대한 평균 인지도는 72.6%였다. 전년보다 8%포인트 향상되긴 했지만, 여전히 소비자 10명 중 3명이 인증표지들이 뜻하는 바를 모르는 셈이다. 친환경 인증, 안전관리인증(HACCP)에 대한 인지도가 각각 96.4%, 91.3%로 높았지만, 동물복지(53.7%)와 저탄소(52.3%)에 대한 인식은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농관원 관계자는 “올해부터는 20~60대 남녀로 대상을 확대해 본격적으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들이 인증표지 자체를 인지하지 못하면 애써 인증을 획득한 생산자들도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생산단계에서 친환경, 동물복지, 품질관리 등에 힘쓰는데도 소비자들이 일반제품과 ‘동급’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비용 탓에 일반제품보다 가격이 10~20% 뛰어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다만 최근 친환경, 동물복지, 건강에 관심이 늘어나는 만큼, 인증제도를 적극 활용하면 생산자와소비자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소비자가 인증제도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2012년부터 국새 모양의 초록색 사격형태로 인증표지를 단일화했다”면서 “소비자들이 국가인증제도에 대해 정보를 알고 현명한 소비를 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세종=손영하 기자 froze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