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트렌드> 핀테크 ITㆍ금융 벽 허물며 급속도로 발전 중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트렌드> 핀테크 ITㆍ금융 벽 허물며 급속도로 발전 중

입력
2019.11.12 10:57
0 0

빅 테크 기업은 금융업 진출ㆍ금융사는 핀테크 기업과 맞손

관련 투자 5년 새 10배 급증… 굵직한 투자 늘어

전문가들 “기존 규제 혁파에 정부와 국회가 더 적극 나서야”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정보통신기술(IT) 융합을 통한 금융 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하는 핀테크가 최근 4차 산업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림은 핀테크를 형상화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정보통신기술(IT) 융합을 통한 금융 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하는 핀테크가 최근 4차 산업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림은 핀테크를 형상화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10월 30일 서울 여의도 한 호텔에서 열린 ‘2019 서울국제금융 컨퍼런스’는 핀테크의 장이었다. 이 행사에서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금융감독 디지털화로 핀테크 육성 지원에 나서겠다”고 선언했고,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 여의도를 핀테크 중심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미래 먹거리인 핀테크의 중요성에 금융 당국과 지방자치단체까지 나선 것이다.

핀테크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정보통신기술(IT) 융합을 통한 금융 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한다. 과거 ‘전자금융’이 기존 금융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전통적 의미의 핀테크라면 최근에는 소비자의 새로운 수요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컨대 애플페이, 알리페이, 네이버페이 등 지급결제 서비스와 여기에 연결된 쇼핑몰 사업 등이 모델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자산관리, 투자, 보험, 개인금융 등으로 영역이 확산되는 중이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6월 펴낸 ‘글로벌 핀테크 10대 트렌드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핀테크는 IT와 금융 시장의 벽을 허물면서 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빅 테크(Big Tech)’ 기업이라고 불리는 중국 알리바바, 미국 구글ㆍ아마존ㆍ페이스북ㆍ애플 등이 금융업으로 진출했고, 국내에서도 네이버, 카카오 등 IT 기업들이 간편결제와 송금 시장에 발을 내디뎠다. 기존 금융회사는 핀테크 기업과 협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핀테크 기업은 종합 금융플랫폼 사업을 강화하는 추세다.

분야별로는 금융분야 디지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수요가 늘고 있으며, 비교적 까다로운 금융분야 규제 보고서 작성 같은 업무를 IT 기술로 자동화하는 ‘레그테크(RegTech)’가 주목 받고 있다. 이 밖에도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IT 기술을 적용한 보험 서비스 ‘인슈어테크(InsureTech)’가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사고가 나기 전 위험을 관리하고 보험상담도 로봇이 대신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으로 보다 효율적인 영업과 블록체인을 이용한 안전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금융 혁신’으로 부를만한 핀테크의 발전 가능성은 관련 투자가 늘고 있는 모습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6월 KDB미래전략연구소가 펴낸 자료를 보면 핀테크에 대한 투자는 2013년 39억 달러에서 2018년 403억 달러로 급증했다. 5년 새 10배 넘게 늘어난 것이다. 투자 건수도 같은 기간 608건에서 1,829건으로 약 3배 증가했다. 투자 건수보다 금액이 더 가파르게 증가했다는 건 ‘굵직한 투자’가 많아졌음을 보여준다.

*핀테크 스타트업에 투자한 금액은 2013년 39억 달러에서 2018년 403억 달러로 최근 5년 새 10배 넘게 증가했다. 자료=KDB미래전략연구소

이를 반영하듯 세계 각국은 일찍이 핀테크 육성 정책을 펴고 있다. 영국은 핀테크 혁신연구소를 설립하고 2014년 8월 재무부 주도로 ‘핀테크 산업 종합지원계획’을 수립했다. 여기에는 제도, 금융, 기술 지원 등이 모두 담겨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2017년 5월 핀테크 비전을 발표하는 등 육성 정책을 추진 중이다.

우리 정부도 2015년 핀테크 산업성장을 지원하고 오프라인 위주의 금융제도를 개편하는 내용의 ITㆍ금융 융합 지원방안(2015년 1월), 핀테크산업 활성화 방안(2015년 5월), 핀테크 혁신 활성화 방안(2018년 3월) 등 정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지난 4월에는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시행하면서 규제 개선방안도 수립했다.

정부의 금융규제 샌드박스 시행 이후 11월 4일까지 11개 핀테크 기업이 약 1,2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고, 7곳은 해외 진출을 협의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23개 핀테크 기업이 225명을 추가로 고용해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입증했다.

핀테크가 대기업보다는 스타트업 위주로, 또한 기존 금융강국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큰 성장을 보인다는 점은 4차 산업혁명 후발 주자인 우리나라에 희소식이다. 전체 스타트업 투자에서 핀테크 스타트업 투자 비중은 금액 기준으로 2013년 7.5%에서 2018년 19.5%로 늘어났다. 나라별로 지난해 핀테크 스타트업 투자 비중 증가율은 유럽과 미국이 전년대비 24%, 43%에 그친 반면 아시아(265%), 아프리카(376%), 오세아니아(396%) 등은 300% 안팎을 기록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아직 상존하는 규제를 혁파하는데 관계기관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벤처기업협회는 최근 렌터카 기반 차량호출 서비스 ‘타다’를 검찰이 기소한 것에 대해 입장문을 내고 “승차와 핀테크, 원격의료 등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각종 신산업들이 기존 전통산업과 기득권을 위한 규제에 가로막혀 싹을 틔워보기도 전에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이어 “구호에만 그치고 있는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환경을 조속히 현실화하거나 신산업 관련 입법화를 조속히 마무리해달라”고 정부와 국회에 호소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