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인류, 20만년 전 아프리카 남부서 출현했다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인류, 20만년 전 아프리카 남부서 출현했다

입력
2019.10.29 01:00
13면
0 0
인류의 대이동. 강준구 기자
인류의 대이동. 강준구 기자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 남부에서 출현했으며, 기후변화 때문에 ‘대이동’을 시작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간 과학계에선 현생 인류의 발상지와 대이동 원인을 두고 명확한 답을 내리지 못했다. 이번 연구가 해당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연구단장과 미국 뉴사우스웨일즈대, 호주 가반의학연구소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이 현생 인류의 가장 오래된 혈통이 20만년 전 아프리카 칼라하리 지역에서 출현했고, 13만년 전 기후변화로 이주를 시작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28일 발표했다. 칼라하리는 아프리카 남부 나미비아와 짐바브웨 국경에 있는 보츠와나 북부 지역을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국제학술지 ‘네이처’ 29일자에 실렸다.

연구진은 우선 남아프리카에 사는 현생 인류의 직계 후손 198명을 찾아내 이들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DNA) 정보를 분석했다. 세포 내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DNA는 할머니에게서 어머니로, 어머니에게서 딸로 유전되기 때문에 모계 조상을 추적하는 실마리로 쓰인다. 미토콘드리아 DNA를 공유하는 인류 집단은 발견된 순서대로 알파벳이 매겨지는데, 과학계에선 최초의 현생 인류인 L 집단이 L0와 L1~6 그룹으로 나뉜 것으로 보고 있다. 그 중 하나인 L3가 M과 N 집단으로 분화했고, 이후 M과 N 그룹이 다시 20여개 하위 그룹으로 갈라지면서 다양한 미토콘드리아 공유 집단이 만들어졌다.

연구진은 이번에 새로 찾은 198개의 L0 표본과 L0에서 나온 하위 계통 1,019개 표본의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돌연변이가 얼마나 발생했는지 등을 분석, 하위 계통의 출현ㆍ이주 시점 등을 살펴봤다. 미토콘드리아 DNA에 돌연변이가 많이 나타났다는 건 지리적으로 더 멀어졌다는 뜻이다. 연구진은 현생 인류가 예전 추정치(17만5,000년~15만년 전)보다 앞선 20만년 전 아프리카 남부인 칼라하리에서 출현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과거 현생 인류 유골이 아프리카 동부에서 발견된 적이 있는데, 현생 인류의 가장 오래된 혈통(L0의 후손)은 아프리카 남부에 주로 거주했다고 알려져 있어 과학계에선 인류의 발상지를 두고 논란이 계속돼왔다. 이번 연구로 현생 인류의 발상지가 아프리카 동부가 아닌 남부라는 데 무게가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인류 이동을 두고도 현생 인류가 건조해진 기후를 피해 이주했다는 주장과 새로 만들어진 녹지를 따라 사냥ㆍ채집을 하면서 이동했다는 가설이 맞서왔는데, 이번 연구 결과는 ‘녹지 이동설’에 손을 들어줬다. 연구진이 고대 기후를 컴퓨터 모델로 분석했더니 지구 자전축 방향이 바뀌면서 남반구의 여름 일사량과 강우량이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약 13만년 전 아프리카 북동쪽(잠비아ㆍ탄자니아 지역)과 약 11만년 전 남서쪽(나미비아ㆍ남아프리카공화국 지역)으로 녹지가 형성돼 이주가 가능한 환경이 갖춰졌다. 팀머만 단장은 “숲이 생긴 시점과 유전학적으로 분석한 이주 시기ㆍ경로가 일치한다”며 “현생 인류가 기후변화로 생긴 녹지를 따라 이주했다는 뜻”이라고 주장했다.

변태섭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