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계관보다 거친 어조… 김정은 공언 ‘협상 시한’ 다가와
“김정은ㆍ트럼프 친분 관계도 한계 있어” 태도 변화 촉구
북한이 27일 대미 강경파인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을 내세워 미국의 태도 변화를 강하게 압박했다. 24일 김계관 외무성 고문이 비슷한 취지의 담화를 발표한 지 사흘 만이다. 이달 5일 스톡홀름 북미 실무협상 결렬 뒤 미국의 묵묵부답이 지속되자 북한이 비핵화 협상 베테랑들을 앞세워 대미 압박 수위를 높여가는 모양새다. 올 4월 자신이 공언한 협상 시한(연말)이 다가오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초조감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평화위) 위원장’ 명의로 낸 담화에서 “최근 미국이 우리의 인내심과 아량을 오판하며 대조선(대북) 적대시 정책에 발광적으로 매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FFVD(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가 미국 입장’, ‘북한은 불량국가’ 같은 최근 미 당국자 발언을 거론하며 “미국이 셈법 전환과 관련한 요구에 부응하기는커녕 더 악랄한 방법으로 우리를 고립 압살하려 하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어 김 부위원장은 “미국의 이런 적대 행위들로 뒤틀릴 뻔했던 조미(북미)관계가 유지되는 것은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친분관계 덕분”이라면서도 “모든 것에는 한계가 있는 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자기 대통령과 우리 위원장의 개인적 친분관계를 내세워 시간 끌기를 하며 이해 말을 넘겨보려 생각한다면 어리석은 망상”이라며 “영원한 적도 벗도 없다는 외교적 명구가 영원한 적은 있어도 영원한 친구는 없다는 격언으로 바뀌지 않기를 바란다”고 경고했다.
이날 담화의 수위는 사흘 전 ‘김계관 담화’보다 전반적으로 한층 높다. 우선 어조가 강경해졌다. “미국이 어떻게 연말을 지혜롭게 넘기는가 보고 싶다”는 김 고문 말이 달래는 투였다면 김 부위원장은 “영원한 친구가 없다”며 정색을 했다. “(미 전략군사령관 지명자라는) 놈”, “발광” 같은 거친 표현을 사용하면서다. 스피커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2016년 초 통일전선부장에 기용된 김 부위원장은 지난해부터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카운터파트로 대미 협상을 이끌어오다 올 2월 ‘하노이 노 딜’ 뒤 외무성에 주도권을 내주고 대미 라인에서 배제된 군부 출신 인사다. 미 국무부 ‘기피 대상 1호’일 정도로 강경론을 대표하는 김 부위원장을 다시 등장시켜 대미 압박 수위를 끌어올려보려 한 셈이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북한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와 스톡홀름 실무협상 결렬, 담화 등을 통해 ‘새로운 계산법을 들고 오라’고 압박하고 있지만 미국이 전혀 답을 내놓지 않자, 압박 수위를 계속 높여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미국은 ‘스톡홀름 노 딜’ 뒤 북한이 본격 대화의 선결 조건으로 제시한 △한미 연합 군사연습 중단 △미군 전략 자산(무기) 한반도 전개 금지 등과 관련해 아직 가타부타 말이 없는 상태다. 김형석 전 통일부 차관(대진대 교수)은 “트럼프 대통령이 ‘흥미로운 정보가 있다’나 ‘(김 위원장과) 좋은 관계’ 같은 상투적 언급만 했을 뿐 실제 북한에 내준 것은 없다”며 “스스로 정한 협상 시한인 연말이 다가오자 김 위원장이 성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감을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다만 여전히 수위는 조절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리용호 외무상을 비롯한 대미 협상 라인을 내세우지 않고 협상에서 비켜나 있는 김계관이나 김영철 명의로 담화를 내는 것은 적어도 협상 판을 깰 생각은 없다는 뜻”이라고 했다.
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