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울 지역의 대학을 중심으로 정시 전형 비중을 확대하겠다는 정부 발표가 나오자, 그 대상이 된 고등학교 1학년생 이하 학생과 학부모들은 혼란에 빠졌다.
고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유선아(50)씨는 “정책의 당사자인 학부모, 학생과는 아무런 논의 없이 정책을 정해버리면 어쩌자는 거냐”며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데, 이렇게 금세 정책이 바뀌어 자녀에게 또 어떤 전형 대비를 시켜야 할 지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초등학생 고학년 자녀 두 명을 둔 이지연(39)씨도 “한 치 앞도 모르는 교육정책 앞에 대입까지 5년 넘게 남은 초등학생들은 논술,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정시 모두를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며 “당장의 사교육 논란을 가려보겠다고 정책을 뒤집었다가 오히려 사교육 풍조가 심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 말 한마디에 교육 정책이 손바닥 뒤집듯 바뀌는 상황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도 나온다. 김선희(51) 좋은학교바른교육학부모회 대표는 "이번 정부 들어서 2021~2022년 교육 제도에 대해 사회적으로 합의를 추진해온 부분들이 있는데, 이게 한 순간에 원점으로 되돌아가버려 허탈하다"며 "하나의 사건으로 대입 정책이 재논의 된다는 점에서 학부모와 학생들은 이번에도 '기껏 대비했더니 대입제도가 또 바뀌는 것 아니냐’며 불안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에선 차라리 잘 됐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학종 자체가 부담스러웠던 이들이다. 숙명여고 시험문제 유출사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 특혜 의혹 사건 등을 거치면서 학종에 대한 불신이 커진 영향도 있다.
김지민(16) 학생은 “중학교 때부터 학종 전형을 대비해야 한다는 사실이 부담됐다”며 “정시가 확대되다 못해 학종이 아예 사라지길 바랐던 나로서는 잘된 일”이라고 말했다. 김양 어머니 박경진(47)씨도 “아이에게 맞는 수시 전형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부터가 사교육의 시작이라고 느껴왔다”며 “학생과 학부모가 입시정보 격차에서부터 맥 빠지지 않고 공부에만 매진할 수 있으니 가장 공평한 대안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은서 기자 silver@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