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라돈 사태 1년 4개월… “모나자이트 관리 아직도 허점”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라돈 사태 1년 4개월… “모나자이트 관리 아직도 허점”

입력
2019.10.07 15:10
수정
2019.10.07 15:45
0 0

‘라돈 침대’ 사태가 1년여 지났음에도 방사성물질을 포함한 원료인 모나자이트 관리에 허점이 적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7일 국회에서 열린 원자력안전위원회 대상 국정감사에서 신용현(바른미래당)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워원회 위원은 모나자이트를 구매한 업체 66곳 중 폐업한 9곳이 보관하고 있던 모나자이트 약 3.35톤의 행방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광물의 일종인 모나자이트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침대를 비롯한 여러 생활제품에 사용됐지만, 방사성물질인 라돈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원안위가 이를 원료로 사용한 제품을 조사·수거하고 있다.

신 위원이 원안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행방이 묘연한 모나자이트 이외에도 내수용 가공제품 업체 19곳이 모나자이트 332.3㎏, 해외수출 업체 11곳이 103㎏, 실험연구 업체 23곳이 17㎏을 ‘보관’하고 있다.

신 위원은 “기준치가 넘는 라돈이 검출된 제품 수거율도 약 49%에 머물고 있다”며 “수거된 제품을 쌓아만 둔 채 처분 방법을 1년 4개월째 내놓지 않는 건 큰 문제”라고 강조했다. 신 위원에 따르면 기준치 이상의 방사선이 검출돼 수거된 이들 제품은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로 보낼 수도, 그냥 버리거나 태워버릴 수도 없어 별도 처분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대해 엄재식 원안위원장은 “라돈 검출 제품을 사용하다 버린 소비자들이 많아 판매된 것에 대비해 수거율이 낮다”며 “제조업체에 수거를 독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라돈 침대 사태 이후 지하철 역내의 라돈 수치가 높다는 문제도 줄곧 제기돼왔으나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 위원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서울시가 라돈 농도를 측정한 지하철역사(대합실, 승강장) 52곳 중 세계보건기구(WHO) 기준(1㎥당 100베크렐)을 초과하는 역사가 5곳(삼양, 솔샘, 북산한보국문, 성신여대입구, 보문)이었다. 이보다 낮은 미국 환경청 기준(74베크렐)을 넘는 역사는 13곳(남태령, 충정로, 마들, 중계, 서울숲, 삼양, 삼양사거리, 솔샘, 북한산보국문, 정릉, 성신여대입구, 보문, 삼전)이나 됐다.

이 가운데 성신여대입구 역사는 313.9베크렐의 라돈이 검출돼 WHO 기준치의 3배가 넘는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보문(194.7베크렐), 북한산보국문(193.8베크렐) 역사가 뒤를 이었다.

이에 대해 엄 위원장은 “부처 간 역할이 나뉘어 있어 한계가 있지만, 원안위가 역할을 확대하고 목소리를 높여 빨리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임소형 기자 precar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