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ㆍ지진 등에 취약… 기상청 “클라우드 기술 도입”
2시간 내 복원해야 대국민 문자서비스 등 늦지 않아
기상 예보를 최대한 정확히 예측해 재난에 대비하도록 하는 기상청이 정작 자체 시스템은 재난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 상황이나 재난ㆍ재해 상황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기상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것이 기상청의 임무이지만 막상 전쟁, 지진 등 재난으로 기상청 일기예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2시간 내 완전복구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됐다. 이 경우 기상청 홈페이지가 다운되고, 기상청이 국민들에게 직접 발송하는 지진ㆍ해일 예보 등의 문자서비스 발송이 늦어질 수도 있어 피해가 커질 수도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6일 기상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서비스연속성관리 계획서’에 따르면 기상청은 전쟁이나 재난 등으로 인해 본청의 시스템을 활용할 수 없게 될 경우 다른 장소에 마련한 ‘재해복구 시스템’을 운영하도록 돼있다. 하지만 본청 시스템은 2시간 이내 완전 복구가 불가능했고 재해복구 시스템도 불안정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복구 시스템이란 주 센터의 각종 정보시스템이 지진, 화재 등의 천재지변이나 인재사고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이중화(자료 백업과 동시에 시스템 다운 시 바로 복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 된 보조센터의 동일한 자료를 활용해 시스템의 서비스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기상청은 자료의 중요도에 따라 재해 복구 목표 수준을 결정하며, ‘최상위 재해 복구’ 수준의 자료는 2시간 이내에 복구해야만 원활한 대국민 기상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하지만 온도, 습도, 풍향, 기압 등을 관측하는 종합기상정보시스템(COMIS)의 웹조회 분야는 현재 실시간 백업을 하지 않고 있으며 하루에 1번만 백업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COMIS 웹조회 분야는 최상위 재해복구 수준 자료다. 이 때문에 지진, 화재 등의 재해ㆍ재난으로 인해 기상청 본청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예보관들이 자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국민들에게 제공되는 대국민 기상서비스의 질이 떨어진다는게 전 의원의 지적이다.
가령 전쟁이 발생하면 육ㆍ해ㆍ공군 관측부대가 있어 당장 전쟁을 위한 기상 관측ㆍ예보에는 무리가 없다 해도 관측 장비와 수준이 기상청에 미치지 못해 기상 정보의 품질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기상청은 재난으로 인해 본청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지 못하더라도 기상 예보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연혁진 기상청 정보통신기술과장은 “본청 시스템이 재난과 전쟁 등으로 완전히 손상될 경우 최소한의 운영을 통해 기상 예보를 하게 돼 업무에는 지장이 업을 것”이라면서 “기상청 시스템은 서버가 800개 이상일 만큼 방대해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시스템 전체를 완전히 복구해서 운영하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본청 시스템이 문제 없이 운영될 경우 수년, 수십년 간 활용할 일이 없게 되는 백업 시스템 구축을 위해 수백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충북 오창에 있는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에 있는 서버는 20대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상청은 기존 재해복구시스템의 대안으로 ‘클라우드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클라우드 기술은 물리적인 저장 장치에 곧바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웹상 대용량 저장 방식을 활용해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이다.
전현희 의원은 “우리나라도 각종사고나 지진, 화재 등의 재난·재해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다”며 “기상청은 면밀한 재해복구시스템을 구축하여, 어떤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대국민 기상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경석 기자 kav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