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인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만 처리하는 자체 매립지를 조성하기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인천뿐 아니라 서울 경기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모두 처리하는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한 것인데, 자체 매립지 조성이 불가능해 공동 매립지 조성을 요구해온 서울시에게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는 30일 오후 ‘자원 순환 선진화 및 친환경 자체 매립지 조성 착수 보고회’를 열었다.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따른 폐기물 자체 처리 계획 수립과 자체 매립지 후보지 선정, 주민ㆍ기초자치단체와의 갈등 해결 최소화 방안 마련 등을 위한 이번 연구용역은 인천연구원에서 맡아 내년 8월까지 진행한다.
윤하연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날 보고회에서 2025년부터 쓰레기를 그대로 땅에 묻는 직매립을 제로화하고 소각재만 매립할 경우 필요한 자체 매립지 부지는 약 14만㎡ 정도라고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9월부터 서울 인천 경기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처리 중인 수도권매립지 제3-1매립장(면적 103만㎡)의 7분의 1 크기에 불과하다. 3-1매립장은 2025년 8월까지 쓸 예정이다.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새 매립지 조성과 자체 매립지 조성을 투 트랙으로 추진해온 인천시는 대매립지 4자 협의체(환경부ㆍ서울시ㆍ인천시ㆍ경기도)에서 매립지 조성 논의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자체 매립지 조성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자체 매립지는 대규모 부지가 필요하고 조성에 9~10년이 필요한 대체 매립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집이 작다. 인천시는 자체 매립지 조성과 직매립 제로화를 위한 소각장 신설ㆍ현대화를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 이전에 끝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도권매립지를 2025년 8월까지 사용하되 대체 매립지 조성이 늦어질 경우 매립지 잔여 부지의 최대 15%(106만㎡)를 추가로 쓰기로 한 4자 협의체 합의를 믿고 있던 서울시는 난감해진 상황이다. 자체 매립지 조성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꾸준히 밝혀온 서울시는 최근까지도 매립지 4자 협의체 합의 이행에 무게를 둬왔다. 매립지 안팎에선 대체 매립지를 조성하거나 기존 매립지 잔여 부지를 쓰기 위해선 설계와 공사 등에 장기간(6~9년)이 소요되는 만큼 연말까지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인천시가 직매립 제로화를 전제로 한 자체 매립지 카드를 들고 나오면서 서울시의 부담도 커졌다. 인천시도 자체 매립지 부지 마련과 조성 공사, 소각장 신설ㆍ현대화 추진 과정에서 주민 반발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다음달 11일 시민대토론회 등 공공토론과 여론조사 등 민주적 숙의과정을 통해 시민 공감을 얻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환직 기자 slamhj@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