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제조기업 199개 설문조사
국내 제조업체 10곳 중 4곳 이상이 1년 전보다 해외로부터의 소재ㆍ부품 조달이 어려워졌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소재ㆍ부품 조달에 차질이 생기면 대체재를 찾기가 불가능하거나 1년 이상 걸릴 거라 답한 기업도 전체의 20%를 넘었다.
한국은행은 30일 발간한 올해 3분기 지역경제보고서에 이러한 내용의 ‘제조업체의 소재ㆍ부품 조달 리스크 점검’ 보고서를 수록했다. 이는 일본이 자국의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에서 한국을 배제하는 내용의 시행령을 공포(8월 7일)한 직후인 지난달 15일부터 이달 5일까지 전국 제조기업 199곳을 설문조사 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1년 전보다 주요 소재ㆍ부품의 해외 조달에 차질을 빚을 리스크(위험)가 커진 품목이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전체의 43.2%였다. 국산 제품 확보에 차질이 생길 거라고 답한 기업(16.1%, 복수응답 가능)까지 합하면 조사 대상 기업의 45.7%가 조달 리스크가 커졌다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기계ㆍ장비(50.0%), 철강(45.5%), 석유ㆍ화학(41.7%), 자동차(38.6%), 정보기술(ITㆍ36.1%) 순으로 차질을 염려하는 비율이 높았다.
국가별로는 일본 소재ㆍ부품 조달이 어려워질 거란 응답이 33.7%(67곳)으로 가장 많았고, 중국(17.6%), 유럽(7.0%), 미국(6.0%)이 뒤를 이었다. ‘일본 리스크’를 지목한 업체 중엔 리스크가 현실화할 경로로 무역규제(80.5%)와 납품 지연(59.7%)을 꼽는 응답이 많았다. ‘중국 리스크’ 중엔 가격 급등(63.1%)이 최대 걱정거리였다.
조달 차질이 현실화했을 때 3개월 안에 대체품을 확보할 수 있다고 답한 기업은 32.5%에 머물렀다. 반면 대체재를 찾는 데 1년 이상 걸리거나 아예 불가능하다고 답한 기업은 각각 5.5%, 14.8%에 달했다. 전체의 20.3%가 사실상 대체 불가능한 제품을 쓰고 있는 셈이다. 분야별로는 화학(23.6%), 1차금속(23.6%), 컴퓨터ㆍ전자ㆍ광학기기(16.4%)에서 해당 비율이 높았다.
최근 조달 여건 악화에 대응하고 있다고 답한 업체는 전체의 68.8%였다. 그러나 대기업(80.0%)에 비해 중견기업(65.9%)이나 중소기업(56.4%)은 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구체적 대응 방법으론 구매선 다변화(34.8%), 예비 거래처 확보(26.0%), 재고 보유량 확대(25.7%) 등이 많았고 국산화 추진(9.7%), 해외기업 지분투자(2.4%) 등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소재ㆍ부품 국산화 장애요인으론 연구개발인력 부족(23.7%), 국내수요 부족(21.2%), 기술개발자금 부족(14.4%), 환경ㆍ생산활동 규제(13.9%)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이훈성 기자 hs0213@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