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한은 “2금융권ㆍ지방 가계부채 부실 조짐” 경고음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한은 “2금융권ㆍ지방 가계부채 부실 조짐” 경고음

입력
2019.09.26 16:41
수정
2019.09.26 22:24
20면
0 0

한국은행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

금융기관 연체율 자료=한국은행
금융기관 연체율 자료=한국은행

최근 2금융권과 지방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부실 조짐이 증가하고, 장기간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 비중이 늘어나는 등 “금융 불안을 초래할 위험요인(리스크)이 커지고 있다”는 한국은행의 진단이 나왔다. 금융의 전반적 안정도를 보여주는 금융안정지수는 3년 6개월 만에 ‘주의’ 단계에 진입했다.

한은은 24일 이 같은 내용의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국내 금융안정 상황에 대해 “최근 들어 리스크가 증대되고 있다”는 총평을 내놨다. ‘일부 취약점이 있으나 비교적 안정’(3월), ‘대체로 안정’(6월) 등 종전 보고서에 비해 확연히 부정적인 평가다. 한은은 △미중 무역분쟁 등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기업실적 악화 △일부 기관의 가계대출 연체율 상승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월별 경제지표 20종을 합성해 전반적 금융 안정도를 평가하는 금융안정지수는 지난달 기준 8.3으로 2016년 2월(11.0) 이래 처음으로 주의단계(8~22)에 들어섰다. 이 지수는 금융안정 수준을 안정(0~8), 주의, 위기(22~100)로 구분하는데, 앞서 지수값이 위기까지 치솟았던 3개 국면(외환위기, IT버블 붕괴, 글로벌 금융위기) 땐 각각 6~8개월의 주의단계를 거쳐 위기단계로 진입한 바 있다.

보고서는 2금융권과 지방의 가계대출 부실 가능성을 집중 점검했다. 2금융권 중에선 상호금융의 대출 연체율이 지난 6월 말 기준 1.88%로 전년 동월(1.43%)보다 크게 오르고, 여신전문기관(카드사, 캐피탈) 대출 연체율 역시 같은 기간 1.75%에서 1.79%로 오르며 상대적으로 취약한 모습을 보였다.

[저작권 한국일보]금융업권별 대출 연체율_신동준 기자/2019-09-26(한국일보)
[저작권 한국일보]금융업권별 대출 연체율_신동준 기자/2019-09-26(한국일보)

지방 가계부채는 2017년을 기점으로 건전성이 점차 악화되는 양상이다. 수도권의 경우 전체 대출 보유자(차주) 중 원리금을 연체한 비율이 2017년 말(2.0%)과 변함이 없는 반면, 지방은 2017년 말 2.5%에서 올해 6월 말 3.1%로 크게 높아졌다. 같은 기간 취약자주(저소득 또는 저신용의 다중채무자) 중 연체를 한 비중은 수도권에선 감소(19.4→19.1%)한 반면 지방에선 4명 중 1명 이상 꼴로 증가(21.2→27.7%)했다. 더구나 지방 주택가격 하락에 따라 이 기간 주택담보대출 연체 비중 또한 1.6%에서 2.1%로 상승했고, 주택경매 건수도 급증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지방 가계부채 중 비은행 대출 비중(54.1%)이 수도권(32.6%)보다 훨씬 높은 탓에 지방 및 2금융권 가계대출이 동반 부실을 겪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기업대출 역시 한계기업 증가로 부실 위험이 커지는 양상이다. 외부감사 대상 기업(자산 120억원 이상)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자비용 대비 영업이익)이 3년 연속 1미만, 즉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는 상황이 3년 이상 이어지고 있는 한계기업의 비중은 지난해 14.2%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보고서는 “교역 여건 악화, 국내 경기 둔화 등으로 한계기업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신용위험 관리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훈성 기자 hs0213@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