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 재개될 북미협상에 긍정적인 신호가 잇따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일(현지시간) 북한 비핵화와 관련, ‘새로운 방법론’을 꺼낸 데 이어 북한이 20일 “이를 환영하며 협상 결과를 낙관하고 싶다”는 담화를 발표했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이 23일로 확정됨에 따라 문 대통령의 비핵화 협상 ‘촉진자’ 역할도 기대된다.
북미 실무협상의 북측 수석대표로 알려진 김명길 외무성 순회대사는 이날 발표한 담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리비아식 모델’을 대체할 ‘새로운 방법’ 언급을 환영하며 미국 측이 제대로 된 계산법을 가지고 나올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경질된 존 볼턴 전 보좌관의 ‘악담’을 받아치는 과정에서 “어쩌면 새로운 방법이 매우 좋을지도 모른다”고 밝힌 데 대한 화답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새로운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부연하진 않았지만 이달 말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 북미 실무협상에서 미국이 제시할 안과 맞물려 주목된다. 특히 북한이 최근 ‘체제 보장’과 ‘제재 완화’를 요구한 터라 미국이 얼마나 유연성을 보이느냐가 관건이다.
북한과 미국은 시기적으로도 여유가 없다. 북한은 올해 말을 비핵화 협상 시안으로 제시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내년 말 대선에서 재선을 노리고 있다. 양쪽 모두 외교적 성과가 필요한 상황이라 서로 입장을 절충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북한은 미국의 정책 변화를 잘못 읽고 오판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우리 중 누군가가 떠난다고 해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이 바뀔 거라고 추정하지 않아야 한다”라고 밝힌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미국으로서도 ‘새로운 접근법’에 걸맞게 대북 협상에서 유연성을 보여야 한다.
북미 간 협상을 마무리할 기회가 온 만큼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미 타협을 유도할 문 대통령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긴요하다. 청와대 말처럼 이번 북미 접근으로 한반도 평화를 향한 톱니바퀴가 움직이도록 해야 한다. 북미 대화의 성과가 남북 대화와 교류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도로 만들어야 한다. 북미협상과 한미 현안 모두에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치밀하게 준비하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