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등 SNS에서 불거진 궁금증
퇴사 기자 “임금체불, 경영진 불통” 사측 “퇴사자 주장은 사실과 달라”
노숙인(홈리스) 자립을 돕기 위해 발행되던 잡지 ‘빅이슈’ 기자들의 집단 퇴사를 두고 뒷말이 오가고 있다. 사표를 낸 기자들은 “아름다운 이별을 원했지만, ‘빅이슈 코리아’의 실상을 알리고 싶다”며 임금체불과 경영진 불통 등을 주장했다. 반면 사측은 “평기자 2명의 임금이 한 번 체불됐을 뿐이고, 경영진은 기자들과 면담을 했다”고 반박했다.
빅이슈 코리아 편집국 기자 4명 전원이 집단 퇴사 소식을 알린 건 지난달 30일 210호를 통해서다. 이들은 ‘퇴사 일기’ 등의 형식으로 독자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전했다. 지난 15일 발행된 211호는 새롭게 충원된 기자 2명이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선 기자 4명의 퇴사 이유에 관한 물음표만 떠돌았다.
빅이슈는 고용노동부와 서울시에 등록된 비영리 사단법인이자 사회적 기업 빅이슈 코리아가 노숙인의 자립을 돕는 목적으로 발행하는 잡지다. 영국에서 1991년부터 시작한 빅이슈의 취지를 이어받아 지난 2010년부터 9년째 한국에서 발행 중이다. 기자들과 재능기부자들이 모여 잡지를 만들고, 노숙인 출신 판매원인 ‘빅판’이 이를 팔면서 일부 수익을 자립 기반으로 활용하는 구조다. 잡지 판매 가격 5,000원의 절반인 2,500원이 판매자 몫으로 돌아가고, 나머지 2,500원이 출판 및 운영 비용 등으로 쓰인다.
사표를 낸 빅이슈 기자 A씨는 지난 16일 퇴사 이유를 전했다. 먼저 A씨는 임금체불 문제와 열악한 노동 환경이 장기간 개선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세후 180만~190만원쯤되는 월급을 받으면서 판매원, 독자들을 위해 참고 일했다. 하지만 마냥 참는 게 빅이슈를 위한 길이 아니라는 결론이 퇴사였다”고 전했다. A씨는 “편집장의 경우 월급이 총 8번 늦게 나왔다. 최대 한 달 정도 월급이 늦게 나온 경우도 있었고, 기자 중 한 명은 3년간 근무하면서 임금이 밀린 적이 3차례 있었다. 다른 한 명은 2년 간 근무하면서 1차례 밀렸고, 막내 기자만 임금 체불 문제를 겪지 않았다”고 밝혔다.
A씨에 따르면 빅이슈 기자들은 주52시간을 넘겨 주 7일 가까이 근무를 해왔다고 한다. A씨는 “지난 1년간 주말과 공휴일 없이 4명이 2주 간격으로 100쪽 분량의 잡지를 만들면서 어려움이 많았다”며 “노동의 가치, 노동자 인권을 중시한다는 빅이슈가 정작 자사 노동자는 돌아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A씨는 “연차나 대휴 사용이 어려워 쌓인 유급휴일이 한 달치가 넘을 정도였다. 9월 한 달을 유급휴가로 몰아 쓰게 된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사표를 낸 기자들은 빅이슈의 온라인 수익금 운용과 여성 홈리스 지원이 불투명하다는 점도 문제 삼았다. A씨는 “빅이슈는 온라인 수익금이 상당하다. 또 이를 여성 홈리스 자활에 쓰겠다고 밝혔지만, 온라인 수익금 중 얼마가 여성 홈리스를 위해 쓰이는지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사측에 이를 정확하게 알려달라고 요청했지만, 사측은 답을 회피했다”고 말했다.
A씨는 이미 사표가 수리된 시점에 퇴사 결정 과정까지 밝힌 일을 두고 “빅이슈를 진심으로 위하는 마음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저희가 그만 두기 때문에 판매원분들의 생계가 위협받는 게 아니라, 빅이슈 코리아가 앞으로도 쭉 판매원분들의 도움이 되려면 이런 식으로 굴러가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사측은 집단 사퇴를 한 기자들의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사측 관계자는 18일 한국일보 통화와 19일 공식입장을 통해 “저희가 비영리기업이다 보니 경영난에 시달릴 때는 국장급 직원들의 임금이 밀린 적이 있었지만, 막내급 사원들의 임금은 보전해주기 위해 노력했다”고 해명했다. 사측은 “중간급 직원들의 임금 지급은 지난 6월 단 한 차례 6일 지연됐다”고 덧붙였다. 연차 및 대휴 사용이 한 달치나 쌓이게 된 이유에 대해선 “기자들이 주말, 밤에 근무했다고 하면 대휴가 발생했다. 정말 일했는지는 모르지만 양심에 맡겼고, 퇴사 전 사용하시도록 했다”고 답했다.
집단 사퇴하는 기자들이 지적한 자금 흐름의 불투명성에 대해 사측 관계자는 “사회적 기업으로서 경영공시를 하고, 재무제표도 매년 공개하고 있다. 서울시에도 매년 사업 보고를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온라인 수익금과 관련, “빅이슈는 정기 구독이 한 달 300건이 넘지 않고 거리 판매가 우선”이라고 밝혔다. 여성 홈리스 지원 문제와 관련해선 “2016년 한 해 외부 지원으로 여성 홈리스를 지원한 적이 있다. 온라인 수익금이 여성 홈리스 지원에만 쓰인다는 건 잘못 알려진 내용”이라고 말했다. 한 온라인 서점의 경우 지난해 11월 190호와 지난 2017년 12월 168호를 판매하면서 “해당 온라인 서점의 판매 수익은 여성 홈리스의 일자리를 위해 쓰인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최신호인 지난 15일 발행된 211호에는 “빅이슈코리아의 홈리스 자립 비용으로 사용된다”는 문구가 표기됐다. 바뀌게 된 이유를 묻자 사측은 “어느 서점인지 확인해보겠다”고 답했다.
사측 관계자는 또 “포장 등 발송 작업을 하는 업무에 여성 홈리스 분들이 매달 8~9명 정도 투입되고 있다”며 “앞으로 재정 상황이 나아지면 여성과 청소년, 장애인 홈리스 지원을 지속할 수 있도록 기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빅이슈 편집국 기자들은 새 인력 2명으로 교체됐다고 알려졌다. 빅이슈 측은 18일 트위터를 통해 “빅이슈 편집국이 새로이 꾸려졌다”며 “이전과 같지만 또 다른 빅이슈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정은 기자 4tmr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