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사율 100%의 치명적 돼지 전염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국내에서도 발병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7일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전날 오후 6시께 경기 파주시의 한 양돈농장으로부터 어미 돼지 5두가 한꺼번에 폐사했다는 신고가 들어와 현장조사를 진행한 결과 ASF임을 확진했다고 발표했다. ASF는 지난해 중국 베트남 미얀마 등 아시아 각국에서 유행했고 지난 5월 말에는 북한에서도 발병했으나, 국내 발병은 이번이 처음이다.
ASF 전염 및 발병이 심각한 것은 가공할 정도의 치사율 때문이다. 구제역 치사율이 최대 50%인 데 비해 바이러스성 출혈병인 ASF는 급성인 경우 100%다. 구제역은 백신이라도 있지만, ASF는 백신도 치료제도 없다. 다만 공기를 통해 전염되는 구제역에 비해 ASF는 감염 돼지나 돼지 생산물의 이동, 오염된 음식물의 돼지 섭취 등을 통해 전염되는 만큼 전염성은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사람이나 다른 동물엔 전염ᆞ발병하지 않아 확산 범위도 제한돼 있다.
그럼에도 지난해 이래 강화된 방역행정에도 불구하고 방역망이 뚫린 데다, 아직 전염경로조차 파악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결코 방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잔여 음식물을 통한 감염 가능성을 감안하면 정부가 지난해 아시아 지역 유행 이래 잔여 음식물의 돼지 급여를 중단해야 한다는 일각의 지적을 외면한 점은 비판을 살 만하다. 농림부는 부랴부랴 양돈 농가에 대한 잔여 음식물 반입을 전면 금지키로 했으나 사육비 상승 등 농가 부담을 감안하면 지속되기 어려운 면피성 조치다.
정부는 이날 ASF 위기경보를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올리고, 발병 농장 및 동일 농장주 소유 2개 농장의 돼지 3,950두를 살처분했다. 또 전국 돼지농장, 도축장, 사료공장, 출입 차량 등을 대상으로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하는 등 전염 확산을 막기 위한 단기 대응에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냉동상태에서도 최장 1,000일이나 생존하는 ASF 바이러스의 특성상 단기적 ‘일시정지’ 조치만으로 ASF의 퇴치를 기약하기는 어렵다. 반복적인 농가 피해와 가격 불안을 막으려면 상시 방역을 강화하는 양돈체계 개선책이 함께 강구될 필요가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