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기준 수입 가리비의 절반 이상이 일본산
방사능 오염 검사ㆍ유통 이력 관리하지만 “불안” 여론
국내 유통 수산물 중 특히 일본산 비율이 높은 활(活)가리비를 안심하고 먹어도 될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유통 단계에서 일본산 가리비가 국내산으로 둔갑하는 사례가 적발되면서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일본산 가리비 수입량은 2011년 일본 대지진 이후 크게 늘었다. 2010년에는 1,490톤, 2011년에는 1,564톤에 그쳤지만, 이듬해인 2012년에는 3,395톤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2013년 수입량이 6,000톤으로 또 2배 가까이 급증한 뒤, 2014년 5,128톤, 2015년 6,636톤, 2016년 6,526톤, 2017년 5,685톤, 2018년 6,123톤 등 매년 상당량이 수입되고 있다. 2014년 기준으로 수입 가리비의 절반 이상인 54%가 일본산이었다.
이렇게 한국에서 유통되는 일본산 가리비는 안전할까?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28일 공개한 일본산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 27일 수입된 일본산 활가리비에서 세슘, 요오드 등은 검출된 바가 없어 ‘적합’ 판정을 받았다. 일본산 수산물 검사 방식은 난수표법으로 가리비가 들어올 때마다 전량을 수조에 넣으면서 샘플을 추출해 검사하는 방식이다. 검사 결과는 식약처 홈페이지 등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미량이라도 방사능 물질이 검출될 경우엔 전량 반송 조치된다. 유통이력을 속이는 것 역시 쉽지 않다. 어패류 도매 상인 A씨는 29일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가리비는 단 1kg을 팔아도 누구에게 팔았는지 기록하게 돼 있다”며 “나름 철저히 관리 중”이라고 말했다.
그래도 안심하긴 이르다. 일본산이 께름칙해 국산 가리비만 찾는 소비자들이 뒤통수를 맞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4~2018년) 일본산 수산물 원산지 표시 위반 사례는 총 349건으로 연평균 약 70건에 이르렀다. 이중 위반 건수가 가장 많은 어종이 활가리비였다. 이 기간에 일본산 활가리비의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해 단속된 건은 총 49건, 원산지를 아예 표시하지 않아 단속된 건은 총 85건으로 조사됐다.
활가리비의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자 “아예 일본산은 수입 자체를 안 했으면 좋겠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 공론장에서 누리꾼들은 “가리비를 정말 좋아하지만, 일본산은 싫다”(의***), “가리비도 맘 놓고 못 먹게 하는 일본이 싫다”(m****), “일본산 수산물은 업자들부터 외면하면 좋겠다”(제***)는 의견을 나눴다.
일본산 수산물의 국내 유통을 아예 반대하는 목소리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서도 터져 나왔다. 지난 25일 참여 기간이 종료된 ‘한국 내 일본산 활어 유통과 일본 해수 무단 방류, 무법 깡패 일본 활어차 단속 불가’ 청원은 청와대 답변 기준인 참여자수 20만명을 넘겨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 청원자는 “일본산 수산물과 이를 담고 오는 수송차에 대해 국민의 안전을 위해 강력한 조치와 법규 제정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일본산 가리비를 피하려는 소비자들은 자구책으로 국산 가리비의 특징을 알아두면 좋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에 따르면 국산 가리비는 일본산 및 중국산에 비해 크기가 작은 편이다. 또 국산 가리비는 상대적으로 껍데기가 두껍고, 볼록한 모양이다. 껍데기에 붙은 부착생물은 자연산과 양식에 따라 다르다. 자연산은 부착생물이 적은 편이고, 양식은 상대적으로 부착생물이 많다.
이정은 기자 4tmr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