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응 아닌 고종 내관 황윤명이 지은 정원” 연구에
문화재 가치 등 다시 검토키로
정재숙 문화재청장이 23일 성락원(명승 제35호)이 지닌 가치를 원점에서 재검토해 국가지정문화재 유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애초 알려진 것과 달리 성락원이 철종 대 이조판서 심상응이 아닌, 고종을 모신 내관 황윤명이 1884년 이전에 조성한 정원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다.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성락원 ‘명승지정,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에서 정 청장은 “성락원 지정 과정에서 나타난 과오를 반성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청장은 “성락원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소유자의 증언과 현대 기록에만 의존해 국가지정문화재가 됐다”며 “인물 고증과 역사 고증이 미흡했다는 점을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성락원은 1992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378호에 지정된 이후 2008년 명승으로 재조정됐다. 문화재 지정 당시 이조판서 심상응 별장이라는 점이 강조됐으나, 심상응은 실존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돼 논란이 일었다. 문화재 지정 과정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없다는 전문가 의견이 무시됐다는 의혹도 나왔다. 이에 문화재청은 인물ㆍ역사 고증 용역을 진행했다.
용역 연구자이자 이번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이원호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성락원이 고종을 모신 내관인 황윤명이 1884년 이전에 조성한 정원이라고 밝혔다. 황윤명 문집인 '춘파유고'에 수록된 시 '인수위소지(引水爲小池)’가 성락원 영벽지 바위 글씨와 일치하고, 1884년 갑신정변 당시 명성황후가 혜화문을 나가 황윤명 집을 피난처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는 게 근거다.
전문가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2005년부터 2년간 문화재위원을 지낸 정기호 전 성균관대 조경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전통 정원은 자연을 거의 그대로 정원 삼는 점 등 매우 특이한 면모를 지니고 있다”며 “성락원은 전형적 문인 정원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황평우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장은 “겨우 찾은 것이 내시 황윤명과 관련된 사료라는 점이 실망스럽다”라며 “성락원에 더욱 비판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성락원 명승 지정과 명칭 변경 등을 확정할 방침이다. 특히 정 청장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별서(別墅) 정원 21곳을 재검토하겠다”고도 했다.
신지후 기자 ho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