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가 약산(若山) 김원봉에게 서훈할 수 없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박삼득 국가보훈처장은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원봉 서훈 논란과 관련해 “현재 기준상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서훈 기준을 개정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럴 생각은 없다”고 했다. 박 처장은 ‘김원봉은 대한민국에 공을 세운 분이냐 해를 가한 분이냐’는 질문에 “북한 국가 수립에 기여한 것으로 안다”며 “그 부분에 대해서는 해(害) 라고 볼 수 있다”고 답했다.
박 처장이 이 같은 입장을 밝힘에 따라 김원봉의 독립유공자 인정과 건국훈장 추서를 둘러싼 공방은 당분간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전망이다. 피우진 전 보훈처장은 올해 3월 정무위에서 김원봉의 서훈 여부에 대해 “의견을 수렴 중이고 가능성은 있다”고 발언해 논란의 불씨를 댕겼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사에서 “광복군에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돼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 역량을 집결했다”고 평가해 기름을 부었다. 김원봉을 ‘공산주의자’로 보는 보수 야당은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흔들었다”고 맹비난하고, 여권은 “통합의 메시지를 강조한 것”이라고 두둔해 이념 논쟁으로 번졌다.
김원봉은 의열단과 조선의용대를 결성해 항일 무장투쟁을 주도한 독립운동가이지만, 1948년 월북한 이후로 역사에서 사라졌다.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국가검열상,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 부위원장 등 고위직을 지내고 1958년 숙청된 것으로 알려졌다. 진보 진영은 독립운동의 공을 중심으로 김원봉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보수 진영은 그가 김일성 정권 수립에 참여했다는 점을 들어 반발한다. 김원봉 재평가의 핵심은 월북 이후 행적이지만,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서훈 관련 보훈처 조항에는 ‘북한 정권 수립에 직접 기여하지 않은 인물이어야 한다’는 내용이 있다.
정지용 기자 cdragon25@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