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한미 연합연습’ 탓 이례적 의도 공개
북한이 6일에는 내륙을 가로질러 동해상으로 발사체를 발사했다. 최근 들어 2주 새 4번째 발사체를 쏘아 올린 북한은 이날 선전매체를 동원해 주말부터 시작하는 한미 연합군사연습과 원자력 추진잠수함 등 미국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 등에 대한 대응 차원이라고 어깃장을 놨다. 우리 정부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5시 24분, 36분 황해남도 과일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체 2발을 쐈다. 이번 발사체는 고도 약 37㎞로 약 450㎞를 날아갔으며, 최대 비행속도는 마하 6.9 이상이었던 것으로 탐지됐다.
한미 정보당국은 발사 초기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번 발사체를 지난달 25일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유사한 비행특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북한이 지난달 25일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 2발에 대해 한미 군 정보당국은 두 발 모두 50여㎞ 고도로 약 600㎞를 비행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 미사일은 ‘풀업’(Pull-upㆍ하강단계서 상승비행) 기동을 한 것으로 파악돼 러시아의 이스칸데르-M을 개량한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분류됐다.
군사 전문가들도 발사체의 비행거리(약 450㎞)에 근거해 KN-23이라는 판단에 무게를 싣고 있지만, 북한 신형 방사포의 모델로 알려진 중국의 WS-2 다연장 로켓(400㎜급 방사포)이 최대 450㎞까지 날아가는 점을 감안해 북한이 주장하는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번엔 발사 원점이 황해남도 과일군 일대인 것에 전문가들은 주목한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지금까지 북한이 미사일 개발을 하며 보여 온 시험발사 패턴과 같다”며 “초기에 안전을 고려해 동해 연안 지역에서 해상으로 시험발사한 뒤 안정성에 자신감을 갖자 내륙을 관통하는 추가 시험을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 내륙인 과일군에서 발사했을 때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 전 지역이 사정권에 들지만, 발사 원점에 대한 사전 탐지는 쉽지 않다.
북한은 이날 선전매체들을 동원해 최근 잇단 발사체 발사가 한미 연합군사연습과 미국 핵잠수함 전개, F-35 스텔스 전투기 등의 도입 등에 따른 것이라며 이례적으로 발사 의도를 밝혔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외무성 대변인 명의 담화문을 공개하며 “우리의 거듭되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남조선당국이 끝끝내 우리를 겨냥한 합동군사연습을 벌려놓았다”며 “이것은 새로운 조미관계를 수립하고 조선반도에서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6ㆍ12 조미 공동성명과 판문점선언, 9월 평양공동선언에 대한 로골적인 무시이며 공공연한 위반”이라고 반발했다. 또한 “미국과 남조선당국이 거듭되는 경고를 무심히 대하면 그들이 고단할 정도로 값비싼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며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우리의 립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군사적 적대행위들이 계속되는 한 대화의 동력은 점점 더 사라지게 될 것”이라며 대화의 문을 완전히 잠그지는 않았다.
이와 함께 북한은 유엔 군축회의에서 한미 연합군사훈련에 대해 “지금까지 해온 중요한 조치를 재고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정경두 국방부 장관,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긴급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열고 북한의 연이은 단거리 발사체 발사의 배경과 의도를 분석했다”며 “관계장관들은 현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앞으로 한미 간 긴밀한 공조 하에 관련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철저한 감시 및 대비 태세를 유지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안아람 기자 oneshot@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