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이란의 대립이 일촉즉발로 치달으면서 세계 석유 소비량의 5분의 1이 운송되는 호르무즈 해협을 둘러싼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국제유가는 급격히 상승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미국의 ‘셰일 혁명’으로 대표되는 원유 공급 구조의 다변화가 중동 분쟁이 유가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였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24일 외신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국제유가는 이란 혁명수비대의 영국 유조선 나포로 호르무즈 해협의 긴장이 재차 높아진 지난 19일(현지시간) 이후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폭은 그리 크지 않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9월 인도분 가격(종가 기준)은 23일 1배럴당 56.77달러를 기록, 나포 사태 직전인 18일 55.42달러보다 1.35달러 오르는데 그쳤다. 이달 최고가였던 10일 60.52달러에는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유조선 2척 피격(6월13일), 이란의 미군 드론 격추(20일)로 호르무즈 해협의 위기감이 본격 고조된 지난달 중순으로 시계를 돌려봐도 국제유가(WTI 기준)는 연중 최저점(6월12일 51.54달러)을 찍고 반등하긴 했지만 이달 10~12일 60달러 선에 턱걸이한 뒤 도로 50달러대 중반으로 급락했다.
이런 유가 흐름은 그간 글로벌 원유 시장에서 호르무즈 해협이 지녔던 위상을 무색케 하는 결과다. 이란과 오만 사이에 위치한 호르무즈 해협은 명실상부한 국제 석유 교역의 핵심 통로다. 미국 에너지관리청(EIA)에 따르면 지난해 호르무즈 해협을 통해 일간 2,100만배럴이 이동했는데 이는 전세계 석유 소비량의 21%에 해당한다. 지난해 11월 미국의 이란산 원유 금수 조치에 맞서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 통제를 위협 카드로 꺼내들면서 유가 급등 우려가 증폭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그러나 지난달부터 이 해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현실화하기 시작했음에도 국제 유가는 짐작과는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제 원유 시장의 공급구조 변화가 중동 분쟁으로 인한 시장 충격을 완화했다고 해석한다. 미국이 2010년대 셰일 혁명에 힘입어 원유 생산량을 늘리면서 중동이나 러시아에 견줄 만한 대표적 원유 공급처로 부상했다는 것이다.
원유 시장에서 미국의 위상 제고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일이 이달 발생한 허리케인 ‘배리’다. 배리는 지난 13일 셰일오일 주산지인 미국 남부 멕시코만 연안에 상륙했다가 15일 급격히 약화됐는데, 허리케인 발생으로 미국의 석유 생산에 타격이 있을 거란 전망 아래 오름세를 보이던 국제 유가는 갑작스러운 태풍 소멸에 직면하자 16일 배럴당 2달러 가까이 급락했다. 씨티그룹은 지난 주말 발행한 보고서에서 “멕시코만의 허리케인 피해가 호르무즈 해협의 충돌만큼이나 유가에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존 산유국 진영의 감산 정책이 미진한 점도 유가 상승 압력을 낮추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러시아 등 비회원 산유국 10개국과 함께 OPEC플러스를 구성하고 내년 3월까지 감산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감산에 소극적인 러시아가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국제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호르무즈 해협 분쟁은 길어지지 않을 공산이 크고 OPEC 외부의 공급 증가로 인해 원유 가격은 억제될 것”으로 내다봤다. 대신증권도 “러시아와 미국의 원유 생산 증대와 원유 수요 둔화 우려가 국제유가 결정 요인으로 더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