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 임박해 주민반대 복병… “서울 한복판에도 문제 없어” vs “시험가동인데 악취 진동”
인접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쓰기로 한 경북도청 신도시 환경에너지 종합타운이 준공을 앞두고 지역주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다. 전국 지자체들이 환경기초시설 부지 확보에 골머리를 앓는 가운데 시작한 공동처리장으로, 수범사례로 꼽혔지만 막판에 복병을 만난 셈이다.
지난 26일 오후 경북 예천군 호명면 산합리 경북도청 신도시 중심가. 200여명의 주민들이 “쓰레기 소각장 건설 중단” 등의 어깨띠를 두르거나 피켓을 들고 소각장 폐쇄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6월 21일 첫 집회 후 6번째 ‘금요집회’다. 본격 휴가철인 8월 2일을 건너뛰고 9일부터 계속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주민들의 요구사항은 8월말 준공 예정인 신도시 환경에너지종합타운 내 소각장의 즉각 폐쇄다. 경북도청 신도시 주민연합 관계자는 “시험가동인데도 악취가 이렇게 심한데 본격 가동하면 도대체 어떨지 상상조차 하기 싫다”며 “앞으로 인구 10만 신도시에 쓰레기 소각장이라니 말이 안 되는 소리”라고 목청을 높였다. 소각로에서 가장 가까운 아파트단지는 직선거리로 400m에 불과, 악취와 유해물질 피해에 고스란히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시작은 모범생이었다. 경북도는 도청신도시건설사업개발계획 승인 시점인 2012년 2월 건립 기본 방침을 정하고 각종 행정절차를 거쳐 2016년 12월 착공했다. 6만7,000㎡ 터에 2,097억원을 들여 하루 390톤의 생활쓰레기 소각로와 120톤 규모의 음식물폐기물 처리장을 지어 민간위탁 방식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7월말 현재 공정률 90% 이상으로, 음식물은 3월, 소각로는 6월부터 시험가동 중이다.
안동 예천 영주 문경 상주 등 경북 북부지역 9개 시ㆍ군이 국내 처음으로 협약을 통해 공동 이용키로 한 광역통합형 폐기물자원화시설로 주목을 받았다. 자체 처리장 마련에 어려움을 겪던 군위ㆍ영덕군도 도중에 가세했다. 11개 시ㆍ군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와 6개 시ㆍ군의 음식물폐기물을 이곳에서 처리키로 했다. 쓰레기 소각을 통해 발생하는 열을 재활용, 전기를 생산해 판매하고, 음식물쓰레기는 유기성 바이오가스 생산과 퇴비로 재활용하는 시스템이다.
앞서 경북 영주시와 예천군이 광역쓰레기에너지자원화 시설사업을 공동 추진하다 무산된 적이 있어 더 큰 주목을 받았다.
이에 대해 경북도는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선진국이나 우리나라 배출기준치보다 낮아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먼지 8㎎/㎥(기준치 10), 일산화탄소 40ppm(50), 염화수소 12ppm(15), 다이옥신 0.07ng(나노그램, 0.1) 등이다. 도 관계자는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등에 관한 법률에 30만㎡ 이상 도시를 개발할 대는 쓰레기 처리장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며 “광역소각장으로 확대한 것은 인근 시ㆍ군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신도시 입지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남과 경기도 일산의 음식물 처리장을 포함한 쓰레기소각장은 아파트단지, 도심 등과 100여m 떨어진 곳에서 가동하고 있다”며 “소각로가 정상가동을 하면 냄새도 거의 나지 않게 된다”고 덧붙였다.
이곳에는 100m 높이의 전망대와 수영장, 찜질방, 체력단련시설 등 주민편익시설을 갖춘다. 6.55㎿ 규모의 전기를 생산 1만6,000여세대 공급하는 자원순환체계도 구축한다.
하지만 주민들은 대기오염물질은 물론 매일 쓰레기를 싣고 오가는 300여대의 트럭 등으로 인한 먼지와 악취, 교통혼잡은 불을 보듯 뻔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김순중 경북신도청지역주민연합 대표는 “11개 시ㆍ군의 쓰레기를 반입하는 것은 수용할 수도 인정할 수도 없다”며 “소각장을 폐쇄할 때까지 시위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호기자 lyho@hankookilbo.com
류수현기자 suhyeonryu@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