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美와 무역전쟁 탓… 中 2분기 성장률 6.2% ‘역대 최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美와 무역전쟁 탓… 中 2분기 성장률 6.2% ‘역대 최저’

입력
2019.07.15 17:37
수정
2019.07.15 23:53
1면
0 0

 무역분쟁 장기화로 하락세 지속… 경착륙 땐 금융시장 충격 우려 

리커창 중국 총리가 2일 랴오닝성 다롄에서 열린 하계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개막식에서 “중국은 모든 분야에서 개방을 확대할 것"이라며 "외국인의 금융투자 한도를 내년까지 폐지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리커창 중국 총리가 2일 랴오닝성 다롄에서 열린 하계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개막식에서 “중국은 모든 분야에서 개방을 확대할 것"이라며 "외국인의 금융투자 한도를 내년까지 폐지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의 올해 2분기(4~6월) 경제성장률이 6.2%에 그쳤다. 분기 단위로는 1992년 3월 통계 작성 이후 27년 만에 최저치다. 중국의 연간 목표인 6.0~6.5%에는 들어맞지만, 1분기보다 다시 0.2%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장기전으로 접어들면서 하락세가 완연한 중국 경기가 좀처럼 반등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해 1분기 6.8%를 기록한 GDP 증가율은 2분기 6.7%, 3분기 6.5%, 4분기 6.4%로 점차 낮아졌다. 올 1분기에도 6.4%를 유지해 바닥을 찍는가 싶었지만, 2분기 6.2%로 더 떨어졌다. 6% 지지선이 무너질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 국가통계국은 “국내외 경제 여건이 여전히 심각하고 세계 경제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며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중국 경제가 새로운 하방 압력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 목표치를 6.0~6.5%로 잡았다. 특정 수치가 아닌 범위로 목표치를 정한 건 전례가 없다. 다양한 수단을 동원해 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6.6%에 그쳐 1989년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시위 이듬해인 1990년 3.9%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추락한 것에 충격을 받은 탓이다.

중국 경제는 아직 당초 예상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고 있다. 다만 2조1,500억위안(약 368조원) 규모 인프라 투자와 2조위안(약 343조원) 상당 감세에도 불구하고 성장 활력을 회복하지 못하면서 추가 부양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이강(易鋼) 중국 런민(人民)은행장은 지난달 블룸버그 통신 인터뷰에서 “현재는 추가 부양책을 논의하고 있지 않지만 미국과 무역 전쟁이 더욱 악화할 경우 다양한 통화ㆍ재정 정책을 활용해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글을 올려 중국의 성장 둔화는 ‘무역전쟁’에 의한 미국의 관세 부과가 원인이라며 관세가 중국 경제와 기업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관세는 중국을 떠나 관세가 없는 국가로 가고자 하는 기업들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천 개의 회사가 떠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것이 중국이 미국과의 협상을 원하고, 처음부터 원래의 협상을 깨지 않았으면 좋았을 것이라 생각하는 이유”라며 “그동안 우리는 중국으로부터 관세로 수십억 달러를 받고 있고 앞으로 더 많은 돈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중국이 적극적인 경기 부양을 통해 경제성장률을 올해 목표치 안에서 방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성장률 둔화세가 지속될 경우 한국 역시 부정적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연구원ㆍ현대경제연구원 등은 올해 중국 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한국의 성장률에도 0.5%포인트 하락 요인이 발생한다고 추산하고 있다. 한국의 중국 수출 비중이 높고 금융시장 연동성도 강하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2018년 기준 대 중국 수출 비중은 26.8%에 달했다. 다만 지난해 11월 이후 대중 수출은 8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미ㆍ중 무역분쟁이 뚜렷한 합의 없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중국 수출기업들이 투자 조정에 나서면서 반도체를 비롯한 한국의 중간재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미국의 전면적인 관세 부과로 중국 경제가 경착륙하는 최악의 상황이 오면 한국 금융시장의 변동성도 급격히 높아지며 외국인 자금이 이탈할 가능성도 있다. 중국의 경기 둔화가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신흥국 중심으로 세계적인 위험 확산 요인이 되면 한국도 추가 타격을 피하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일단 중국의 2분기 성장률 저하에 따른 단기적 충격이 클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전망하면서도 중국발 수요 감소와 국제 경기 둔화 등에 대비해 중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급격한 자본 이탈 등에 대비해 안전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며 “중장기적으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rollings@hankookilbo.com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