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사회 전반에서 확산되고 있다. 일본 정부가 한국을 상대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소재 등 세가지 품목에 수출 규제를 시행하자 시민들이 “강제 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에 대한 사실상의 보복”이라며 일본 제품 불매로 대응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정부나 정치권과는 무관한 민간 차원의 자발적인 움직임이라는 점에서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한국마트협회와 전국 중소유통상인협회 등 27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는 지난 5일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 업종에 걸쳐 일본 제품 판매 중지 운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마트협회 200여곳이 반품과 발주 중단을 했고, 일부 중소상인과 자영업자는 일본 맥주와 커피를 전량 반품하고 판매 중지에 나섰다. 온라인에서도 일본 불매 기업 리스트 공유와 함께 일본 자동차와 전자제품, 의류ㆍ신발 등의 브랜드가 언급됐다. 일본 여행 커뮤니티에서도 일본 여행 취소 인증샷이 연이어 올라오는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전방위로 확대되는 양상이다.
일본 제품 불매 사태의 원인은 두말할 것도 없이 일본의 독단적인 경제 보복에 있다. 강제징용 피해 배상은 한국 정부의 결정이 아니라 대법원 판결이다. 경제와 무관한 사법부의 판단을 이유로 경제 보복을 하는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는 게 대다수 한국 시민들의 정서다. 오죽하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 국내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던 상품을 거부하자고 나서겠는가.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불매운동이 최선의 방법일 수는 없다는 것 또한 분명하다. 한일 양국 간 감정을 더 악화시키고 일본과 거래해야 하는 한국 기업들에도 타격을 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치ㆍ외교 갈등에서 비롯된 한일 간의 문제는 경제적 해법보다는 정치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칫 경제적 보복이 보복을 부르는 악순환으로 빠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일본 시민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감이나 갈등 조장, 국수주의로 흐르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 일본 정부에 대한 정당한 불만 표출은 당연하고 존중받아야 하지만 지혜롭고 슬기로운 대처가 요구된다. 정부와 시민들의 대응은 전적으로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이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