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의 파업은 역대 최대 규모다. 파업 참가 인원만 2만명 이상에 파업 기간도 3일로 역대 가장 길다.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정규직화가 이번 정부의 주요 공약이었던 만큼 이들은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며 이번 파업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일각에선 파업 연장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등 학교 현장을 둘러싸고 당국과 노동자들 간 갈등이 더욱 확산되는 모양새다.
교육부가 파악한 이날 파업 참가자 수는 2만2,004명이다. 전국 1만585개 유치원ㆍ초중고교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노동자(15만2,181명)의 14.4% 수준이다. 파업 주체인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가 추산한 3만5,000여 명과 비교하면 만 여명 이상 차이가 있지만, 과거 총파업과 비교하면 가장 큰 규모다. 급식중단 학교 수도 3,000곳에 육박했다. 교육부 집계에 따르면 이날 전국 2,802곳에서 급식이 중단됨에 따라 급식을 하는 전국의 학교(1만438개) 4곳 중 한 곳이 대체급식이나 단축수업을 했다.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2012년 11월 전국 3,400여개 학교에서 일하는 영양사, 급식조리원 등 1만6,000여 명이 ‘호봉제 및 교육감 직접고용’ 등을 요구하며 벌인 파업을 시작으로 2014년, 2016년, 2017년 총 4차례 하루 또는 이틀간의 총파업을 했다. 2012년 파업 당시 전국 초중고교의 10% 수준인 1,200여개, 2014년엔 900여 개, 2016년 500여 개에 이어 2017년엔 1,900여개 학교에서 급식이 멈췄다.
역대 규모 총파업을 이끄는 지도부들의 각오도 남다르다. 급식조리원 등 학교비정규직 노동자 100여명은 지난달 17일 오전 청와대 앞에서 대통령의 정규직화 약속 이행을 촉구하며 집단 삭발식까지 하는 등 각오를 다졌다. 교육당국과 추가교섭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3일간으로 예정된 파업이 연장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이미선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서울지부장은 “(상황에 따라)파업 기간 연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당장 교육부로서도 마땅한 대책을 제시할 수도 없다는 입장이라 파업 장기화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동안 교육부 교육근로지원팀장은 “노조와의 교섭과정에서 향후 충실히 협의해 나갈 것을 제안했지만 수용되지 않았다”며 “노조에 대승적 치원의 협의를 재요청한다”고 밝혔다.
조아름 기자 archo1206@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