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은 2011년에 ‘자장면ㆍ짜장면’을 비롯한 일부 낱말을 복수 표준어로 지정했다. 이후 10년이 다 되어 가는데, 두 말의 쓰임이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는 것은 언어 정책의 효과를 파악해 보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자장면’과 ‘짜장면’의 쓰임 분포를 네이버 기사 자료에서 찾아본 결과, 2005년과 2010년은 두 말이 약 9대 1의 쓰임 차이를 보여 주었다. ‘자장면’만 쓰도록 한 정책이 기사에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그런데 복수 표준어로 지정된 2011년에는 ‘자장면’의 쓰임이 17.5% 포인트 줄고 대신 ‘짜장면’이 그만큼 늘었다. 2012년에는 역전이 일어나 ‘짜장면’이 52.9%를 차지했다. 2019년 6월 현재 지난 1년간의 쓰임을 보니 ‘짜장면’이 71.8%로 ‘자장면’보다 2.5배나 더 많이 쓰였다.
두 말의 이러한 분포 변화는 화자들이 ‘자장면’보다 ‘짜장면’을 더 선호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소리와 표기가 일치하는 ‘짜장면’은 노력 부담이 적어 언어 경제성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오랫동안 ‘자장면’ 쓰기만 강요한 것은 국민들을 괴롭히고 불편하게 만드는 언어 정책이었다.
‘자장면’과 ‘짜장면’의 복수 표준어 지정은 여러 가지 시사하는 점이 많다. 나라에서 먼저 복수 표준어로 지정한 것이 아니라 ‘짜장면’을 왜 못 쓰게 하는지에 대한 수많은 항변, 자유롭게 쓰게 해 달라는 꾸준한 요구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1987년 이후 사회적으로 민주화가 무르익으면서 일방적, 억압적인 언어 정책에 반기를 들 수 있는 ‘언어적 항명’의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었다. ‘짜장면의 귀환’은 한국 사회 민주화의 결실이면서 ‘언어 민주화’, ‘언어 국민주권’의 한 출발점이라고 할 만하다.
이정복 대구대 한국어문학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