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구조 변화와 맞물린 시장 포화, 저금리ㆍ저성장에 따른 수익성 악화에 직면한 보험업계가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부문 중 하나가 ‘고객 편의 증진’이다. 편리한 보험료 납부는 그 핵심이다. 보험사들이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와 제휴해 휴대폰으로 청구서 확인부터 보험료 결제까지 가능하도록 한 것이 비근한 사례다. 그러나 보험업계는 국내 대표 결제수단인 신용카드로 보험료를 받는 일만큼은 완강하게 꺼리고 있다. 카드 결제 허용이 고객 만족과 시장 확대에 긍정적일 거라 짐작하면서도, 당장의 카드수수료 부담 탓에 고객 편의에 눈감는 딜레마에 처한 모양새다.
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업종(생명보험ㆍ손해보험)과 상품 유형을 막론하고 올해 1분기 기준 카드납지수(전체 보험료 대비 카드결제 비율)가 10%를 넘는 것은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76.6%)과 보장성보험(10.8%)뿐이다. 특히 저축성보험의 카드납지수는 생명보험사 0.9%, 손해보험사 4.3%에 불과하다. 더구나 생명보험사 저축성보험은 KB생명이 5월 청약분부터 카드 납부를 받지 않는 것을 마지막으로 보험료 카드 결제가 사라졌다.
보험사들은 저축성보험 성격상 카드로 보험료를 납부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한다. 카드 결제가 일종의 외상거래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저축성보험료 카드 납부는 ‘빚으로 저축하는’ 셈이라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저축성보험과 성격이 다른 보장성보험의 경우도 정도 차이만 있을 뿐 카드 납부 비율이 낮긴 마찬가지여서 보험업계의 논리 다툼이 궁색하다는 지적이 많다. 업계 관계자는 “보험사나 상품에 따라 아예 카드 납부를 받지 않거나 카드 납부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제대로 알리지 않는 방식으로 영업한다”고 말했다.
결국 보험사의 카드 거부 이면엔 수수료 부담이 작용하고 있다는 평이다. 보험사들은 카드 결제 보험료의 2.5%가량을 카드사에 수수료로 지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장기계약이 많은 저축성보험의 경우 결제가 매달 진행되기 때문에 수수료 부담이 만만치 않다”면서 “이 비용이 상품 사업비에 포함되면 결국 소비자 이익이 줄어들게 된다”고 말했다. 더구나 보험업계 업황이 악화되면서 카드 납부제는 현상유지는커녕 되레 축소되고 있다. 편리한 보험료 납부와 카드 이용실적 축적을 들어 카드 납부 확대를 원하는 소비자 요구에 역행하는 상황이다.
보험업계는 1%대 카드수수료를 요구하고 있지만 “2% 이하로 내릴 수 없다”는 카드업계의 저항에 막혀 2017년 말 이후로 수수료 인하 협상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보험료 카드 납부를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신용카드 납입제 운영현황 공개(2016년), 카드납부 비율 공시(2018년) 외에 적극적 조치는 내놓지 않고 있다.
사실 보험업계 내부엔 과감한 카드 납부 확대가 경영 개선에 도움이 될 거란 관측도 적지 않다. 이를 뒷받침하는 사례도 있다. KB생명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자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홍보 차원에서 앱 설치를 조건으로 가입할 수 있는 ‘착한저축보험’을 한시적으로 출시했다. 1년간 월 20만원을 완납하면 4만원 정도의 이자수익을 주는 ‘소소한’ 상품이었지만, 카드 납부가 된다는 이유만으로 청약이 몰려 한때 서버가 다운되기도 했다. KB생명 관계자는 “보험료 카드 납부에 대한 요구가 고객들에게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며 “보장성보험 상품에 대해선 전적으로 카드 납부를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