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방북 이어 남북 회담ㆍG20 순항 땐 비핵화 협상 다시 탄력 받을 듯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을 방문키로 하면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개 여부를 가를 운명의 주사위가 던져졌다. 시 주석의 방북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포스트 하노이 전략’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으며, 27일 시작되는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 전 남북 정상회담까지 개최되면 비핵화 협상의 동력이 급격히 되살아날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기대다.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우리 정부의 전략 기조는 ‘연쇄 양자 정상외교’를 통한 비핵화 대화 재개로 정리할 수 있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하노이 북미 회담 결렬 직후인 3월 초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중국으로 파견해, 양제츠 외교담당 정치국원 등과 북한 비핵화를 위한 한중 공조 방안을 논의하도록 했다. 이어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은 3월 말 러시아를 방문해 북한이 비핵화 대화에 복귀하도록 설득해 달라고 요청했다. 4월 열린 북러 정상회담을 앞둔 사전 포석의 성격이었다.
연쇄 양자 정상외교의 정점은 바로 열흘 앞으로 다가온 G20 회의다. 미중ㆍ한중ㆍ한일ㆍ한러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보이는 만큼 국제사회에 지지를 이끌어 내는 데 적기로 볼 수 있다. 특히 시 주석이 비핵화 협상에 있어 북한의 진전된 입장을 끌어내 미중 정상회담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려는 것 아니겠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청와대는 시 주석 방북을 계기로 남북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G20 정상회의와 맞물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정상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청와대는 전날 “정부는 시 주석의 방북이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이의 조기 실현을 위해 중국 정부와 긴밀히 협의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8일 “중국과 ‘긴밀히 협의했다’는 표현에는 많은 의미가 담겨있다”며 “(시 주석의 방북에는) 우리 정부의 의중이 담겨있다는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꼭 일정이나 의제만을 두고 협의하는 것은 아니다”며 “중국과 북한이 만나는 것이 왜 필요한지를 논의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남북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기대를 놓지 않으며, 북측과의 접촉 상황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하노이 이후 미국 내에서는 ‘굿 딜’에 대한 기대보다는 ‘배드 딜’에 대한 우려가 더 커진 게 사실”이라며 “시간은 북한이나 우리 편이 아닐 수 있다. 지금은 어느 때보다 남북이 손을 잡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남북 간에 이미 3차례 정상회담을 한 만큼 김 위원장이 결단만 하면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건 어렵지 않다”며 “남은 열흘이 한반도 운명을 가를 결정적 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북유럽 3국 순방에서 “6월 안에 남북 정상회담 개최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 않다”며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을 거듭 촉구한 바 있다.
이동현 기자 nan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