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하, 해외에 나가 있는 저희 건설 장비를 들여와 국토 확장 사업에 쓰겠습니다.” 간척 사업에 몰두하던 정권 막바지의 박정희 대통령은 충남 서산의 천수만 일대를 막아 농지를 만들 구상을 갖고 있었다. 그때까지 비슷한 간척 사업은 모두 정부가 맡았으나 이 사업은 민간에서 해주기를 바랐는데 그때 손 들고 나선 사람이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었다. 마침 중동 건설 붐이 시들해 남아도는 장비와 인력을 활용하기에도 맞춤이었다.
□방조제로 막아 생긴 두 개의 국내 최대 인공 담수호까지 포함해 여의도 20배에 이르는 154㎢ 규모의 서산 AㆍB지구 간척 사업이 첫 삽을 뜬 것은 1980년이다. 그러나 사업은 5년째 최종 단계인 A지구 방조제 물막이 공사에서 난관에 부닥쳤다. 전체 6,400m 방조제의 마지막 270m를 막으려고 아무리 거대한 돌덩이를 갖다 넣어도 급류에 쓸려나갔기 때문이다. 이때 정 회장의 아이디어로 고철로 쓰기 위해 사놓은 322m 길이의 스웨덴 유조선으로 물길을 막아 무사히 공사를 마친 일화는 유명하다.
□국내 최초로 민간 기업이 주도한 서산 간척 사업은 고도 성장기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국토 개발이다. 농지 확보만이 아니라 그 넓은 땅에 수확 후 남은 곡물을 먹겠다고 매년 60만마리의 철새들이 몰려드는 바람에 관광지로도 명성을 얻었다. 문제는 방조제 공사 후 생긴 담수호의 수질 오염이다. 바닷물의 흐름이 끊긴 상태에서 육지 오염원이 증가하면서 B지구 담수호인 부남호의 경우 농업용수로조차 못 쓸 정도로 더러워진 지 10년을 넘었다.
□양승조 충남지사가 부남호 방조제의 10% 정도인 120m 가량을 허물어 담수와 해수를 유통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부남호 수질 개선은 물론이고 갯벌과 연안, 하구언의 생태계 복원을 목표로 한 ‘역간척’ 구상이다. 무작정 국토를 넓히고 보자던 개발 시기의 발상과는 정반대로 환경과 생태를 중시해 갯벌을 살려내자는 이런 사업은 10여년 전부터 서서히 뿌리 내리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023년까지 제방, 연륙교 등을 부분 철거하는 방식으로 전남을 비롯해 전국 23곳의 갯벌 등의 해양 생태 복원 사업도 추진 중이다. 역간척 선진국인 네덜란드 전문가의 말대로 “자연은 길들일 수 없다”는 교훈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김범수 논설위원 bs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