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5년간 5배 넘게 증가…대전 보이스피싱 피해 눈덩이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5년간 5배 넘게 증가…대전 보이스피싱 피해 눈덩이

입력
2019.06.10 17:53
수정
2019.06.10 18:36
0 0
정부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사기 유형. 대전경찰청 제공.
정부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사기 유형. 대전경찰청 제공.

A씨는 지난 3월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을 당해 3억원이 넘는 돈을 날린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악몽은 ‘XXX 해외결제 48만8,000원’이라는 문자에서 시작됐다. A씨가 문자 발송 번호로 전화해 결제사실이 없다고 하자 상담원이 친절하게 “환불 및 경찰 신고를 도와주겠다”고 안내했다. 다음날 사이버수사대를 사칭한 자가 전화해 “휴대폰을 통해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확인을 위해 원격조정앱(팀뷰어 등 상용앱)을 설치토록 유도했고, 그대로 따랐다. 하지만 앱을 설치한 순간 A씨 휴대전화는 더 이상 그의 것이 아니었다. 악성앱이 깔려 보이스피싱범들이 A씨 휴대전화에 있는 모든 정보와 기능을 장악한 것이다.

이를 까맣게 모르고 있던 A씨는 “관련 사건이 검찰청에서 수사 중이니 114로 서울중앙지검 전화를 확인해 통화하라”는 보이스피싱범들의 말을 그대로 따랐다. A씨의 전화를 가로챈 일당이 “개인정보가 유출돼 피의자 명의의 대포통장이 만들어졌다.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예금 및 인출 가능한 대출금을 1개 계좌로 모아 놓아야 한다. 안전조치 등을 위해 OTP번호를 알려달라”고 압박했다. 겁에 질린 A씨는 그대로 따랐고, 보이스피싱범들은 A씨의 계좌에서 3억2,000만원을 이체해 가로챘다.

대전지역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최근 5년 간 5배 넘게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5월까지 피해액이 100억원을 넘기며 지난해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및 피해금액은 1,295건에 15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4년 358건, 28억원에 비해 건수로는 3.6배, 금액으로는 5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올해 보이스피싱 피해도 5월 말까지 이미 600여건에 108억원이나 돼 지난해 건수 및 피해금액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보이스피싱 수법이 보다 전문화되면서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경찰에 따르면 사기범들은 소액결제 문자를 피해자에게 먼저 보낸 뒤 피해자가 전화를 걸어오면 개인정보 유출을 거론하며 압박해 자신들이 시키는 대로 따르도록 유도한다. 이후 검사를 사칭하고 미리 만들어놓은 ‘사건검색’ 사이트를 알려주며 피해자의 개인정보가 현재 수사 중인 사기 사건에 연루됐다고 협박한다.

사기범들은 이에 놀란 피해자에게 스마트폰에 악성앱이 섞인 ‘원격조종앱’을 설치토록 한 뒤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활용해 돈을 직접 빼간다.

저금리 대출을 미끼로 한 사기도 많다. 사기범들은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다는 문자메시지를 보낸 뒤 연락을 해 온 피해자들에게 “기존 대출을 상환해야 한다”면서 미리 만든 가짜 은행 입을 깔도록 유도한다. 이를 믿은 피해자들이 가짜 앱을 통해 대출을 상환하면 사기범들의 계좌로 입금되는 수법을 주로 쓴다.

대전경찰청 김현정 수사2계장은 “보이스피싱범들의 사기 행각은 갈수록 지능화, 전문화되는 등 진화하고 있어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예방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사회가 힘을 모아 보이스피싱 예방에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오는 12일 지역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보이스피싱예방 대전시공동협의체가 출범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최두선 기자 balanced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