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김원봉이 광복군 힘 보탠 건 맞아”… 박근혜 국방부도 “광복군 법통 계승”

알림

“김원봉이 광복군 힘 보탠 건 맞아”… 박근혜 국방부도 “광복군 법통 계승”

입력
2019.06.07 17:34
수정
2019.06.07 20:50
0 0

문재인 대통령 현충일 추념사 사실 왜곡은 없나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제64회 현충일 추념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제64회 현충일 추념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약산 김원봉을 언급한 것을 두고 정치권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문 대통령이 ‘김원봉을 국군 창설의 뿌리’로 인식하고 있다는 비난과 ‘보수와 진보의 구분 없는 애국을 강조하다 이름이 언급됐다’는 옹호가 맞선다.

문 대통령의 추념사에서 사실 왜곡은 없다. 문 대통령은 “임시정부는 1941년 12월 10일 광복군을 앞세워 일제와의 전면전을 선포했다”며 “광복군에는 무정부의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되어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고 밝혔다. 임시정부의 군사조직인 광복군은 1940년 9월 창설됐고, 청년공작대가 먼저 통합된 후 중국 정부의 종용에 따라 1942년 12월 김원봉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됐다. 김원봉은 같은 해 12월 5일 광복군 부사령관에 임명됐다.

역사학계 평가에 따르면 광복군과 조선의용대의 통합은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낳았다. 광복군의 전력과 병력이 크게 강화됐고, 광복군과 조선의용대로 나뉘어 있을 때 벌어졌던 정치적 논쟁과 알력을 해소할 수 있었다. 임시정부의 직속ㆍ직할 ‘국군’으로서 광복군의 지위도 명실상부해졌다.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는 문 대통령의 추념사 내용은 역사학계 평가와 다르지 않다. 조선의용군과 조선의용대를 지속적으로 연구해 온 김영범 대구대 교수는 “김원봉이 광복군에 역량을 보탰다는 발언 자체는 논란이 될 것이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불굴의 항쟁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되었다”고도 추념사를 통해 밝혔다. 임시정부의 통합 광복군에서 국군의 원류를 찾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올해 발간된 국방부 홍보책자 ‘대한민국 국군’도 추념사와 궤를 같이 한다. ‘강제로 해산된 대한제국 군대가 의병으로, 일제 강점기 독립군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광복군으로 발전하여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가 되었다’(‘대한민국 국군’ 5쪽)고 규정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5년 국방부 홍보책자도 ‘대한민국 군은 광복군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했다.

문 대통령의 추념사에 오류가 있긴 하다. 문 대통령은 “임시정부는 중국 충칭에서 좌우합작을 이뤘고, 광복군을 창설했다”고 말했는데, 광복군 창설 후 좌우합작이 이뤄졌다.

추념사에 왜곡이나 잘못된 논리가 들어 있지 않다. 하지만 현충일 추념사에서 6ㆍ25전쟁 당시 북한 고위직에 있던 김원봉을 언급한 것이 적절했냐는 비판은 별개다.

강윤주 기자 kka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