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오늘 취임 100일을 맞았다. 제1 야당 대표로 4ㆍ3 재ㆍ보궐선거를 진두지휘하며 나름대로 성과를 거뒀고 여야 4당의 패스트트랙 지정에 반발해 장외투쟁을 주도하는 등 ‘문재인 정부 대항마’ 이미지 구축에 성공했다. 그가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에서 5개월 연속 1위를 기록한 것도 ‘보수진영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황 대표의 ‘좌파독재’ 등 강성 일변도 발언은 진보층은 물론 합리적 중도층의 외면을 받고 있는 게 현실이다. 여당과 한국당 간 지지율 격차가 더 벌어졌다는 최근 여론조사 결과가 그 방증이다. 황 대표가 취임 100일을 맞아 ‘2020 경제대전환 프로젝트’를 가동하고 젊은 세대와 소통하는 ‘2040 미래찾기’ 토크 콘서트를 개최한 것도 한국당의 외연을 넓히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황 대표는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ㆍ중진 연석회의에서 “또다시 국민 마음에 상처를 주고, 국민 신뢰를 떨어뜨리는 언행이 나온다면 참으로 엄정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하게 경고했다. 5ㆍ18 괴물집단 망언, 세월호 유가족 폄하 발언에 대한 경고에도 불구, 정용기 정책위의장의 문재인 대통령 비하, 민경욱 대변인의 골든타임 3분 발언 등 막말 논란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황 대표는 한국경제가 위기이며 민생이 파탄 났다고 주장해 왔다. “급한 것은 경제를 챙기고 국민들의 아픔을 보듬는 일”이라며 경제정책 대안도 예고했다. 그러면서 청와대가 제안한 ‘5당 대표 회담과 일 대 일 회담’을 거부하고 ‘3당 원내대표 회동 후 일 대 일 대화’를 요구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정녕 민생 파탄이 걱정된다면 회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국회 정상화 협상에 응하는 것이 제1 야당 대표의 책임 있는 자세다. 더욱이 ‘5당 여야정협의체’는 지난해 8월 문 대통령과 5당 원내대표 합의에 따라 출범한 것이다. 언제까지 추경안 등 민생 입법을 볼모로 잡고 지지층만 의식한 ‘생떼 정치’를 하겠다는 건지 답답할 따름이다. 한국당의 몽니 탓에 국회는 두 달 가까이 개점 휴업 상태다. 지금처럼 여권이 수용하기 힘든 조건을 계속 고집하면 정국 파행의 책임을 온전히 뒤집어쓰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