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G(세대) 통신과 인공지능(AI) 등 최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응급의료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 초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5G 특성을 살려 응급 현장에서 환자의 혈압, 맥박 등 다양한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AI 기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해당 환자에게 필요한 최적의 응급 처치와 병원을 선정, 골든 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목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다양한 의료기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5G를 활용하는 AI 응급의료시스템을 개발한다고 3일 밝혔다. 연세의료원이 주관하는 이번 컨소시엄에는 아산병원ㆍ아주대병원 등 6개 의료기관, KTㆍ카카오모빌리티 등 10개 ICT 기업, 서울대ㆍ전자통신연구원 등 4개 기관 등이 참여한다. 시스템 개발 사업은 2021년 말까지 추진되며 3년 동안 정부 180억원, 민간 51억원 등 총 231억원이 투입된다.
5G와 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은 응급 의료와 관련된 방대한 데이터를 서로 연결하는 게 핵심이다.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과 소방청, 응급실 등으로 흩어져 있는 응급 의료 데이터를 5G로 통합해 이를 학습한 AI가 분초를 다투는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정보를 추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소방청 등 4개 부처가 개발부터 실증까지 서로 협업하면서 진행한다.
우선 5G 기술로 심전도, 혈압, 맥박 등 생체데이터와 소리, 대용량 의료영상 등 응급현장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전송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의 증상을 파악하면서 주변 응급센터가 얼마나 북적이는지, 응급센터별로 어떤 질환의 환자가 많은지 등을 한꺼번에 분석해 최적의 병원을 자동으로 선정하게 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 시스템은 구급대원과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구축된다”며 “현장에서 파악하는 정보뿐 아니라 만성 질환이 있던 환자라면 평소 환자가 다니던 병원에서의 치료 이력 등도 통합적으로 분석해 응급의료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구급차용 내비게이션도 별도로 개발해 이송시간도 단축시킬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병원에 도착하기 전까지 구급단계별로 AI가 처치 방법을 알려주는 ‘환자 맞춤형 응급서비스’도 접목한다. 이 서비스는 우선 4대 응급질환(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중증외상, 심정지)을 대상으로 응급의료의 각 단계(신고접수→응급처치→이송→응급실)에 맞춰 개발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AI가 각 단계별로 어떤 방법을 썼을 때 성공률이 높은지 학습하고 맞춤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와 내년까지는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분석하는 플랫폼 구축에 주력한다. 2021년에는 2~3개 지역 119구급차와 응급의료센터에 우선 적용해 테스트에 들어갈 계획이다.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소방본부, 의료기관 등으로 확대 보급할 예정이다.
민원기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AI 기술과 지난 4월 상용화된 5G를 활용해 국민 체감도가 높은 서비스를 만드는 사업인 만큼 성공적으로 개발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혁재 연세의료원 사업단장은 “생명존중의 정신으로 시스템, 서비스 등 각 분야의 개발과 실증에 한 치의 오차도 없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맹하경 기자 hkm07@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