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예산정책처, 기업규모간 임금격차 분석
고용 형태, 근속연수, 학력 등 다른 조건이 같을 때 근무하는 기업 규모에 따라 임금 격차가 7%까지 벌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차이도 10% 안팎으로 나타났는데 기업 규모가 클수록 그 차이가 더 벌어졌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31일 펴낸 ‘산업동향 5월호’에 실린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기업규모간 임금격차 분석’에 따르면 개인별 특성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종사자 수 1,000인 이상 대기업 근로자의 임금이 30인 미만 중소기업 근로자보다 6.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인 미만 기업 임금을 기준으로 30~99인 기업은 2.5%, 100~299인 기업은 4.6%, 300~999인 기업은 5.2% 각각 많았다.
연구를 진행한 권일 예산정책처 경제분석관은 한국노동패널조사 12~20차(2009~2017년) 자료를 바탕으로 사업체 종사자 수 규모와 나이, 근무기간, 성별, 정규직 여부, 직종, 산업 등에 따른 시간당 실질임금을 분석했다.
조건이 동일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도 대기업에서 상대적으로 더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규직은 비정규직보다 평균 9.8%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종업원 수에 따라 소기업(30인 미만), 중기업(30~299인), 대기업(300인 이상)으로 분류해 보면 소기업과 중기업에서는 정규직 임금이 비정규직보다 각각 8.0%, 6.8% 많은 반면, 대기업 정규직은 12.7% 많은 임금을 받았다.
기업 규모에 따라 임금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이 달랐다. 대기업일수록 근속연수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소기업일수록 나이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간이나 노동조합 가입 여부 등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권 분석관은 “개인 특성이 유사한 경우에도 기업 규모에 따라 임금 격차가 나타나는 구조는 근로자 가구의 소득 불균형과 청년 취업자들의 중소기업 입사를 꺼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중소기업 종사자에 대한 복지정책 효과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박세인 기자 san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