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가격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하락세를 보이면서 양파주산지인 전남 무안 등 지역농가들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 특히 농가들은 재배면적도 줄이고 산지폐기까지 하고 있는데도 작황 호조로 생산량이 평년대비 15%가량 늘면서 양파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정부의 대책마련을 호소했다.
30일 농협전남본부와 전남지역 양파 농가 등에 따르면 2017년산 양파가 평년가격보다 높게 형성되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 양파가격도 전년도 가격을 유지하지 못하고 평년가격 이하로 떨어지는 폭락 현상을 보이고 있다.
양파가격 하락은 농가들의 작황 호조에다가 2017년산 가격을 기대하고 무분별하게 재배면적이 늘어나면서 생산량이 급증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월 양파 도매가격 분석조사에서 현재 상품 1㎏당 508원으로 전년도 589원보다 13.8%나 떨어졌고 평년보다 15.3% 하락했다. 양파가격은 하락은 2018년산부터 이어지고 있다.
2017년산 상품 양파 1㎏ 도매가격이 1,200원대까지 올랐지만, 2018년산부터는 600원~700원대로 폭락했고 올해산 양파는 500원대까지 추락했다.
양파 재배면적은 평년의 경우 2만1,120㏊였으나 2018년 2만6,425㏊까지 늘었다.
올해는 2만1,756㏊로 전년도보다 줄긴 했지만 평년보다는 여전히 많은 셈이다. 더욱이 올해산 양파의 작황 호조로 생산량은 더욱 늘어나 평년대비 15만1,000톤이 과잉 생산될 것으로 예상됐다.
실제로 조생종 양파 생산 단수는 평년보다 4~7% 증가한 10a당 6,665~6,886로 평년보다 13~17% 많은 18만9,000~19만5,000톤 생산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만생종 양파 생산 단수도 평년보다 10~13% 증가, 10a당 6,684~6,866㎏으로 예상돼 생산량은 평년대비 12~15% 증가한 126만5,000~129만9,000톤이다.
이에 대해 정부가 최근 중만생종 양파 대책을 발표했지만 양파가격 하락을 막을 수는 없었다. 지난 2월말 중만생양파 3,200톤을 산지 폐기했고, 이달 말부터는 5,066톤을 시장 격리하겠다는 입장이다.
전남도도 자체적으로 조생양파 1만840톤을 시장격리했고, 이달 말부터는 중ㆍ만생종 양파 1만톤을 산지폐기 할 예정이다. 농협도 현재 산지폐기 할 농가들의 접수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양파생산 농가들은 정부 대책이 늦었고, 내용도 부실하다고 불만을 털어났다. 이처럼 양파값 하락에 농가들은 정부가 수급대책을 내놓고, 지자체도 시장격리 물량을 크게 늘릴 것을 요구하고 있다.
양파가격 안정에 정치권도 나섰다. 앞선 29일 무안군의회도 긴급 의원간담회를 개최하고 가격폭락이 우려되는 양파가격 안정화 대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채택했다. 군의회는 다음달부터 양파가 본격 출하될 경우 양파가격 하락으로 농가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정부에서 양파 수급조절을 통한 양파가격 안정화 대책을 세워 줄 것을 요구했다.
군의회는 또 양파산업의 지속성을 유지하고 당장의 가격폭락을 막을 긴급대책 마련과 함께 농산물 가격안정과 농민의 소득안정을 위해 농산물 주산지보호 특별법 제정을 즉각 시행해 줄 것을 정부에 촉구하고 정부부처와 국회에 전달했다.
이날 민주당 서삼석(전남 영암ㆍ무안ㆍ신안) 의원은 이인영 원내대표 등 민주당 원내지도부가 참석한 정책조정회의에서“최근 생산량 증가에 따른 양파 마늘 등 채소류 가격 폭락으로 농민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며 보다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수급정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 의원은 “정부의 시장격리조치는 추가생산량에도 못 미치는 양파 2만4,000톤, 마늘 1만1,000톤에 불과해 실효적인 수급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3월 지역 특화 농산물에 대한 최저가격 보장제도 도입을 골자로 한‘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을 대표발의 한 서의원은“단기대책으로 수매비축, 출하정지를 비롯한 추가적인 시장격리 및 대북지원, 장기대책으로 대체작목 개발과 휴경제 도입 등의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근본적으로는 국가가 나서서 최소한 생산비 정도는 보장해 주는 농산물최저가격보장제도의 도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전국양파생산자협회 관계자는 “중만생종 수확기 이전에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그 시기를 넘긴 데다 수급대책의 내용도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고 말했다. 전남도 관계자도“가격에 올라가면 다음 해 재배면적이 늘어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며“수급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대책이 나와야 농산물 가격 안정화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박경우 기자 gwpar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