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실험 없이도 환경호르몬을 판별하는 시험법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1억 마리 이상의 동물이 실험을 위해 희생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동물실험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박유헌 동국대학교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도 인체 전립선 세포주(생체 밖에서 배양이 가능한 세포 집합)를 이용, 호르몬 작용을 교란하는 물질을 찾아내는 시험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환경호르몬의 경우 인체 전립선 세포주 안의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 수용체와 결합하게 되는데, 결합력에 따라 안드로겐 작용에 교란을 일으키는 물질의 양이 달라진다. 이 물질의 양을 보고 환경호르몬의 검출 여부를 판별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해당 시험법은 2020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시험가이드라인 정식 채택을 앞두고 마지막 단계인 OECD 전문자문단 검토를 거치고 있다.
OECD 시험가이드라인으로 최종 승인되면 그 동안 수입에 의존해야 했던 세포주를 국내에서 무상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실험동물 희생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 등도 해결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2018년까지)간 식품과 의약품ㆍ화장품 개발과 안전관리 등을 위한 실험에 약 1,004만 마리의 동물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의 ‘국내 실험동물 사용현황’에서도 2015년 250만 마리이던 실험동물은 2017년 308만 마리까지 증가했다. 동물실험은 복지부나 농림부뿐 아니라 환경부 등 거의 전 부처에서 이뤄지는 실정이다.
구용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과장은 "앞으로도 국제사회 환경호르몬 안전관리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라며 "향후 동물실험 없이도 환경호르몬을 판별할 수 있는 시험법을 마련하기 위한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전혼잎 기자 hoiho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