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산업구조가 고도화하면서 서비스업 취업자 비중이 70%를 넘어섰다. 그러나 서비스업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크게 떨어지면서 전체 산업의 취업 유발 효과도 10년 새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8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15년 고용표 작성 결과’를 발표했다. 고용표는 5년마다 작성되는 산업연관표의 부속표로, 생산활동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2015년을 기준년으로 한 최신 산업연관표는 지난 3월 발표됐다.
이번 고용표에 따르면 2015년 취업자 수(전업환산 기준)는 2,383만명으로 2010년(2,142만명) 대비 11.2% 증가했다. 고용표상 취업자는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 및 무급 가족종사자를 모두 포괄하며, 임금근로자의 경우 임시직 및 시간제 근로자의 근무시간을 전업 근로자의 근무시간으로 환산하는 방식으로 인원 수를 산정하므로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취업자 수와는 차이가 있다.
부문별로 보면 2015년 서비스업 취업자 비중은 2010년(68.9%)보다 1.6%포인트 증가한 70.5%를 기록했다. 1차산업(농림수산업, 광업)과 2차산업(제조업, 건설업, 전기ㆍ가스ㆍ수도)과 대비해 3차산업으로 분류되는 서비스업 비중이 70%를 돌파한 것이다. 2015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 서비스업 고용 비중은 74.4%다. 같은 기간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16.3%에서 16.6%로 소폭 상승했고, 농림수산업은 7.1%에서 5.5%로 줄었다.
취업형태별로는 임금근로자 비중이 2010년 68.0%에서 71.9%로 늘어났다. 특히 상용직 근로자 비중(47.9→53.8%)이 전체 취업자의 절반을 넘어서며 고용의 질이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반면 자영업자 및 무급 가족종사자 비중은 같은 기간 32.0%에서 28.1%로 하락했다. 이들의 비중이 가장 많이 줄어든 부문은 음식·숙박업이 포함된 소비자서비스(50.3→45.3%)였다. 성별로는 여성 취업자 비중이 40.0%에서 40.3%로 소폭 상승했다.
생산 증대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는 약화되고 있다. 어떤 상품을 연간 10억원어치(명목 기준) 생산할 때 필요한 취업자 수를 뜻하는 취업계수는 2010년 6.8명에서 2015년 6.2명으로 낮아졌다. 2005년(10.1명)과 비교하면 10억원어치 생산에 필요한 취업자가 10년새 4명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한은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장하면 생산설비 자동화에 따른 노동생산성 향상,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인력감축 등으로 취업계수는 하락 추세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해당 상품 10억원어치 생산이 직간접적으로 유발하는 취업자 수를 의미하는 취업유발계수 또한 2005년 20.3명에서 2010년 13.8명, 2015년 11.8명으로 10년 새 42%가량 줄었다. 이 10년 동안 우리나라 명목 GDP가 70%(920조→1,564조원)가량 성장했지만 일자리 창출 능력이 급격히 약화된 탓에 노동시장 규모 확대 효과가 상쇄된 모양새다.
취업계수 및 취업유발계수 하락은 서비스업에서 두드러졌다. 서비스업 취업계수는 2010년 11.6명에서 9.8명으로 하락, 같은 기간 2.3명으로 변화가 없었던 제조업과 대조적이었다. 취업유발계수 또한 제조업은 일자리 감소폭이 1명 미만(8.6→8.0명)인 반면, 서비스업은 3명(18.2→15.2명)에 달했다. 계수값의 절대적 수준 차이에서 보듯 서비스업이 제조업에 비해 훨씬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내지만 그러한 고용 창출 효과가 급속히 줄어드는 형국이다. 부문별로는 음식ㆍ숙박 서비스, 도소매ㆍ상품중개 서비스, 사업지원 서비스(인력공급업 등) 등이 상대적으로 취업유발계수 감소폭이 컸다.
이훈성 기자 hs0213@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