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 100주년에 주는 큰 선물 같습니다.”
제72회 칸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최고상)을 수상한 봉준호 감독이 수상의 영광을 한국 영화계에 돌렸다. 25일(현지시간) 열린 폐막식에서 영화 ‘기생충’으로 올해 칸영화제 최고 영예를 거머쥔 봉 감독은 곧이어 열린 수상작 공식 기자회견에서 “고 김기영 감독(‘화녀’ ‘하녀’ ‘충녀’ 등 연출) 등에게서 영감을 받으며 영화를 만들어 왔다”고 거듭 말했다. 이번 수상이 봉 감독 개인만의 영광이 아닌 한국 영화 전체의 쾌거라는 의미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전 세계 각국 기자들은 “원더풀 무비!” “어메이징 무비!” “아이 러브 잇!” 등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영화 속 설정에 대한 해석부터 수상 소감까지 다양한 질문이 쏟아졌다.
-양극화는 보편적인 이야기인데 왜 뼛속까지 한국적인 이야기라고 말했나.
“미리 엄살을 좀 떨었다. 한국 기자회견에서 나온 이야기다. 일단 칸영화제에서 먼저 영화가 소개되지만 그럼에도 한국에서 개봉할 때 우리끼리만 킥킥거리며 즐길 수 있는 요소가 있다는 걸 강조하는 말이었다. 영화가 부유한 자와 가난한 자에 대한 이야기이면서 가족 드라마이기 때문에 전 세계 보편적으로 이해되리라는 생각은 했다.”
-한국에서 황금종려상 수상은 처음이다.
“마침 올해가 한국 영화 100주년이다. 칸영화제가 한국 영화에 큰 선물을 준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포스터를 보면 사람들의 눈을 검은 띠가 가리고 있다. 무슨 의미인가.
“잘 모르겠다. 포스터 디자이너가 했다. 그분도 영화 감독(‘심야의 FM’ ‘걸스카우트’ 등을 만든 김상만)이다. 그분이 박찬욱 감독의 작품을 비롯해 수많은 영화 포스터를 제작했다. 감각이 뛰어난 분이다.”
-‘기생충’의 수상은 장르 영화의 쾌거이기도 하다. 장르 영화가 황금종려상을 받았다는 의미는.
“그 질문 해줘서 고맙다. ‘기생충’은 내가 줄곧 해 온 작업의 연장선에 있다고 생각한다. 장르 법칙을 이상하게 부서뜨리거나 뒤섞으면서 유희를 즐기긴 하지만 어쨌거나 나는 장르 영화 감독이다. 그런데 이렇게 황금종려상을 받게 된 게 스스로 놀랍다. 실감이 안 난다. 심사위원장이 전원 만장일치 수상이라고 해서 더더욱 놀랐다. 나 또한 장르 영화 팬이자 장르 영화 만드는 감독으로서 매우 기쁘다.”
-‘기생충’에 대해 ‘봉준호 자체가 장르’라는 평가가 나왔다. 감독의 전작이 떠오르면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생각한다. 봉 감독의 ‘유니버스’에서 ‘기생충’은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인가.
“유니버스라고 하면 마블 영화 만드는 분들이 잘 아는 세계일 텐데(웃음). 나에게는 이 영화가 내 일곱 번째 장편 영화이고, 또 여덟 번째 영화를 준비하고 있을 뿐이다. 그 평을 해 준 곳이 인디와이어로 알고 있다. ‘봉준호 자체가 장르가 됐다’는 말이 가장 감격스러웠고 또한 듣고 싶었던 말이었다. 기쁘다.”
-장르 변주가 뛰어나다.
“시나리오를 쓸 때 장르를 생각하고 쓰지는 않는다. 카페 구석에서 사람들 이야기를 건너서 들으며 여러 아이디어를 떠올리곤 한다. 내가 쓰는 이야기라 어떤 장르에 맞는지 전혀 의식하지 않는다. 일단 다 쓰고 난 뒤에 ‘이 장르가 뭘까’ 생각해 보긴 한다. 예외가 있다면 ‘괴물’(2006)이다. 유일하게 장르를 의식하고 만든 작품이다.”
-이 영화에 영감을 준 롤모델이 있다면.
“알프레드 히치콕, 김기영 감독 등은 내 영원한 롤모델이다. 그분들 영향 아래 그분들의 영화를 종종 꺼내 보면서 ‘기생충’을 만들었다.”
-한국 영화계에 굉장한 자극과 동기부여가 될 것 같다. 이번 수상이 한국 영화계에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를 기대하나.
“2006년에 프랑스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에서 대규모로 김기영 감독 회고전을 한 적 있다. 그때 나도 참가했다. 프랑스 관객들이 영화에 열광했던 모습이 기억난다. 앞서 그분의 영향을 언급했듯이 내가 상을 받았지만 내가 어느날 갑자기 혼자 영화 만든 게 아니다. 한국 영화 100년 역사 속에 위대한 한국 감독들이 계신다. 시네마테크 행사처럼 한국 영화 역사를 돌이켜볼 수 있는 이벤트들이 많았으면 좋겠다. 구로사와 아키라(‘7인의 사무라이’), 장이머우(‘붉은 수수밭’) 같은 아시아 거장들을 능가하는 한국의 거장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올 한 해 동안 더 많이 알려지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칸=김표향 기자 suza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